주간 이슈 동향 - 서로의 고유 영역에 진출한 FTX와 로빈후드
5월 셋째 주(5월 14일~5월 20일), 매우 바쁜 동향을 보여준 곳은 바로 암호화폐 사업자들입니다. Terra USD 등 일부 스테이블 코인의 붕괴 이후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투자자들에 대한 기관 및 정부의 경고가 쏟아지고 있음에도, 사업자들의 움직임이 멈추지 않는 것입니다.
-
(2022. 5. 16) (2022. 5. 18) (2022. 5. 18) (2022. 5. 20)
먼저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모든 자산군에 걸쳐서 '모든 것의 거래소(everything exchange)'가 되기 위한 야심을 보이며, 미국 달러 뿐 아니라 스테이블 코인으로도 결제가 가능한 미국 주식 거래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2월에 구성된 대기자명단에 이름을 올린 고객 중 선별된 미국 고객들은 FTX US에서 주식이나 상장지수펀드(ETF), 디지털 자산을 매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같은 주식시장으로의 확장은 암호화폐보다 더욱 엄격하게 규제되는 금융 서비스로의 진입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번 발표가 나오기 4일 전에 대표적인 주식 거래 플랫폼인 로빈후드(Robinhood)의 지분 7.6%를 인수한 바 있었습니다. 당시 FTX 설립자인 샘 뱅크먼 프라이드는 로빈후드가 매력적인 투자처이기 때문에 주식을 매입했으며 로빈후드 경영에 관여할 의도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FTX Stocks"이라는 새로운 서비스는 로빈후드처럼 주식거래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 대신, 로빈후드의 수익모델인 PFOF를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알려졌습니다. 또한 차별화를 위해서 Terra USD와 같은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은 제외하고, USD Coin이나 Binance USD 등 명목 기반의(fiat-based) 스테이블 코인으로 주식 구매하도록 지원한다고 합니다.
한편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4월 초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보관형, Custodial)를 출시한 로빈후드가, 이번에 두번째 암호화폐 지갑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새로운 암호화폐 지갑은 비 보관형(non-custodial)으로서 블록체인에서 자신의 돈을 관리하는데에 필요한 프라이빗 키에 대한 단독 관리 권한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암호화폐 및 NFT를 포함한 분산형 앱(dApp)을 포함한 자신의 디지털 자산에 액세스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독립적인 앱의 형태로 여름이 끝날 때 쯤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코인베이스 역시 보관형과 비 보관형 모두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간 투자 동향 - HR플랫폼에 대규모 투자 발생 & 핀테크에 투자가 집중
5월 셋째 주(5월 14일~5월 20일), 크런치베이스에 의하면 메가라운드* 투자를 유치한 글로벌 기업은 23개 기업으로 조사됩니다. (* 메가라운드란 1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라운드를 의미) 아래는 23개 기업 중, 투자금액이 가장 컸던 기업 10곳을 금액순으로 정렬한 표입니다.
5월 3주차 투자 유치 스타트업 (금액 순 상위 10곳)
출처: 로아엔진 (이미지를 클릭해서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간 투자 통계
금주에 메가라운드 투자를 유치한 글로벌 기업 23곳에 4조 8,440억 원 가량의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이 중에서 투자금액이나 투자 건수 기준에서 모두 상위를 차지한 산업 영역은 바로 '금융'으로, 11곳의 기업들에 약 2조 1,900억 원의 투자금이 집중되어 거의 절반의 투자가 집중되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같은 금융 산업에 속했다 하더라도, 제공하는 서비스를 상세히 보면 매우 다양한 영역에 흩어져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 자동차 금융 : 인스퍼레이션(Inspiration), 카리부(Caribou)
- POS 솔루션 : 스팟온(SpotOn)
- 결제 인프라 / 임베디드 결제 플랫폼 : 젠디트(Xendit), 모듈러(Modulr)
- BaaS(banking as a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service) : 쏘트머신(Thought Machine), 유닛(Unit)
- 중소기업 대출 지원: 그리드 파이낸스(GRID Finance), 마켓파이낸스(MarketFinance)
이 중에서 투자금액 기준으로 상위에 랭크된 기업은 블록(Block, 이전 기업명 Square)의 경쟁사로 꼽히는 스팟온(SpotOn)과 동남아의 스트라이프(Stripe)를 표방하는 젠디트(Xendit)입니다.
먼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POS 결제 솔루션 제공사인 스팟온(SpotOn)은 투자회사인 드래고니어(Dragoneer)가 리드하는 3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F 라운드 투자를 유치하며 36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특히 드래고니어는 3년 전 스팟온의 시리즈 A 라운드 투자부터 모든 투자에 참여했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F 라운드 투자를 리드한 것으로 주목되는데요. 이는 연간반복매출(ARR)이 두배 성장했다고 밝힌 이후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SaaS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스팟온은 지역 패밀리 레스토랑에서 메이저 리그 야구 경기장에 이르기까지 "모든 유형과 규모의" 비즈니스에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주로 레스토랑 소매업 숙박업 부문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주목되는 핀테크 기업은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운영 중인, 동남아의 스트라이프를 표방하는 젠디트(Xendit)입니다. 젠디트는 코튜(Coatue)와 인사이트 파트너스(Insight Partners)가 리드하는 시리즈 D 라운드를 통해 3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핀테크 기업의 투자 유치 소식은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 전해지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이번 젠디트에 대한 투자가 주목되는데요.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신용카드 보릅률은 약 3%로 매우 낮은 수준이며 대부분의 지불이 번거로운 은행 송금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젠디트는 고유 식별자인 가상 계정에 대한 아이디어를 시장에 출시했으며, 지불 조정 기능( reconcile payments)이 머천트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고 합니다. 젠디트는 이번 투자금을 토대로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고객 역시 대기업과 테크기업은 물론 중소기업에까지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마지막으로 핀테크 영역은 아니지만 HR 플랫폼에 대한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투자 유치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테크 기업들의 정리해고 소식이 연일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여전히 HR 테크에 돈을 쏟아붓고 있는 것인데요. 벨로시티 글로벌(Velocity Global)이 4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B 라운드 투자를 유치하며 금주 가장 높은 투자금을 모집했습니다. 밸류에이션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대비 7배 상승했다고 합니다
벨로시티 글로벌은 기업들의 원격 및 해외 근로자 고용 부담을 덜어주는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으로, 이를 통해 직원 고용/교육/관리/급여 지급/법률 서비스 등을 처리하고 있으며, 지난해 1억 2,5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올해는 2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합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 가상자산의 희소성 및 원본성 보장을 위해 시작된 토큰의 활용
•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엔터테인먼트 영역의 대표적인 사례로 이더리움 기반의 ‘크립토키티’는 토큰을 활용
- 희소성을 가지는 가상의 고양이 판매의 수단으로 대제 불가능한 토큰(Non Fungible Token, NFT)이 활용 됨
- 크립토키티의 사례 이후, 현물 또는 가상자산에 대한 NFT 발행과 NFT를 활용한 거래 방안이 연구되고 실제 거래되기 시작
• NFT란 토큰마다 고유의 값을 가지고 있어 A 토큰을 B 토큰으로 대체할 수 없는 토큰을 의미
- NFT의 발행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 프로토콜을 사용
• NFT를 활용하면 자산의 희소성 보장 및 원본성 증빙이 가능하고, 소유자 정보와 거래 이력 등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무결성 확보 가능
❖ NFT 시장은 확대 중, 활용사례도 다양
• NFT의 거래는 2020년 하반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21년 상반기(6월 기준)에 25억 달러가 거래됨
- 2021년 1사분기 NFT 거래량은 전년도 전체 거래량의 총합을 초과하였으며, 2021년 3월 거래량은 2020년 12월 거래량의 25~26배 수준으로 증가
• 이러한 성장으로 다양한 분야와 영역의 기업들이 NFT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또는 서비스, 인프라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실제 비즈니스에 이용하는 사례 등장
- 온라인 게임, 메타버스 등 가상 환경과 미술품, 예술품 등 실물 거래에 NFT를 활용
-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환경에도 NFT를 도입하여 NFT 거래소가 신설되고 DeFi 등과 융합된 새로운 금융서비스의 연구가 진행
❖ NFT 자체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제도적 개선방안 마련필요
• NFT를 거래하는 과정에서 가상자산(이더리움 등)을 이용하고 있으나 가상자산의 높은 변동성과 현물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간 정보 소통 부재로 인해 안정적인 시장 형성이 어려움
- NFT 거래 방식에 스테이블 코인 또는 법정화폐(현금)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완 필요
- NFT의 거래 시장과 실물 거래시장 사이에 정보가 공유되어 반영되는 동안 시간적 공백으로 인해 디지털 자산 시장의 신뢰 보장이 어려워 이를 위한 관리 기관 등 마련 필요
• NFT가 실물경제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법·제도 측면에서 의무와 권한이 행사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필요
- NFT를 포함한 가상자산의 재산권 보장을 위한 특금법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전자문서법, 저작권법 등의 개정 필요
• NFT를 포함하여 가상자산이 실물경제에 주는 거부감은 기존 질서의 파괴에 있어, 상생을 위한 노력이 필요
- 블록체인의 사회적 수용도 제고를 위하여 기존 시스템과 제도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변화를 제안하고 기술의 고도화 추진 필요
사용자에게 역할, 권한 및 작업 영역 액세스 할당
사용자가 파트너 센터에 할당한 역할을 통해 파트너 센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결정합니다. 각 프로그램에는 관련된 비즈니스와 관련된 역할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가 CSP(클라우드 솔루션 공급자) 비즈니스인 경우 사용자는 전역 관리자와 같은 표준 Microsoft Azure Active Directory(Azure AD) 테넌트 관리 역할뿐만 아니라 CSP 프로그램과 관련된 역할이 필요합니다.
테넌트 역할 및 비 Azure AD 역할 Azure AD
- Azure AD 테넌트 역할에는 전역 관리자, 사용자 관리자 및 CSP 역할이 포함됩니다.
- 비 Azure-AD 역할은 테넌트 관리하지 않는 역할입니다. 여기에는 비즈니스 프로필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관리자, 추천 관리자, 인센티브 관리자, 인센티브 사용자 및 MPN(Microsoft 파트너 네트워크) 파트너 관리자가 포함됩니다.
사용자 역할, 권한 및 작업 영역 액세스
이 문서의 9개 표에는 파트너 센터 사용자 역할, 해당 역할에서 부여한 권한 및 해당 역할이 액세스할 수 있는 작업 영역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소유자 역할은 프로그램에 등록한 사용자에게 할당되며 수정할 수 없습니다. 소유자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지원 티켓을 만듭니다.
파트너 센터에서 CSP 상용 트랜잭션 관리(Azure AD 및 CSP 역할)
이 표에는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는 Azure AD 및 CSP 역할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사용자 역할로 부여된 작업 영역 및 기타 액세스 권한도 보여 줍니다.
* 영업 에이전트 역할은 계층 1 및 계층 2 간접 공급자에 대해서만 파트너 센터 사용자 관리에 표시됩니다.
MPN 멤버십 및 회사 관리
이 표에는 MPN(Microsoft 파트너 네트워크)에서 멤버 자격, 역량, 프로그램 및 혜택을 보고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는 역할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또한 해당 사용자 역할로 부여된 작업 영역 액세스도 보여 줍니다.
작업 영역 | 액세스 수준 | 사용자 역할 | 자세한 정보 |
---|---|---|---|
Membership | 파트너 서비스 요청 보기, 만들기 및 관리 | MPN 파트너 관리자 | |
Membership | 사용자 세부 정보 및 기술 데이터 보기 | MPN 파트너 관리자 | 파트너 센터의 기술 보고서 |
Membership | 역량 보기 | MPN 파트너 관리자 | Microsoft 역량을 획득하여 비즈니스 차별화 |
Membership | MPN 제안 보기 및 구매 | MPN 파트너 관리자 | Microsoft Action Pack 구독 또는 실버 및 골드 역량 구입 또는 갱신 |
Membership | MPN 제안 주문 기록 및 청구서 보기 | MPN 파트너 관리자 | |
Membership | 파트너 기여 지표 데이터 보기 | MPN 파트너 관리자 | |
Membership | 바우처 유효성 검사 도구에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 MPN 파트너 관리자 | |
이점 | 혜택 보기 및 관리 | MPN 파트너 관리자 | |
이점 | 사용자 보기, 만들기 및 관리 | 사용자 관리 담당자 | 파트너 센터에서 Microsoft 파트너 네트워크 멤버십 혜택 및 제품 관리 |
계정 설정 | 위치 추가 | 계정 관리자 | 위치 관리 |
계정 설정 | 관리자인 계정과 관련된 프로필 관리 | 계정 관리자 | |
계정 설정 | 테넌트 사용자에 대한 역할을 비 Azure AD 역할에 할당 | 계정 관리자 | |
계정 설정 | 법률, 회사, 비즈니스 및 MPN 프로필 보기 | MPN 파트너 관리자 | 회사 프로필 확인 |
계정 설정 | 회사 내 다른 사용자 역할을 볼 수 있지만 역할을 할당할 수는 없음 | MPN 파트너 관리자 | |
계정 설정 | 프로그램에 위치 등록 | 계정 관리자 | |
자세한 정보 | 고객 데이터 분석 보기 | MPN 파트너 관리자 |
조회 관리
이 표에는 조회 작업 영역에서 사용자가 생성, 관리, 편집, 할당, 등록 또는 볼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는 역할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조회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거래 범위에 대해서는 다음 표의 조회 역할 범위를 참조하세요.)
작업 영역 | 액세스 수준 | 사용자 역할 | 자세한 정보 |
---|---|---|---|
조회 | 파트너 센터의 추천 탭에서 모든 항목 만들기 및 관리 | 조회 관리자 | 공동 판매 기회 관리 |
조회 | 공동 판매 기회 및 잠재 고객을 모두 보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관리자 | |
조회 | 거래에 팀 멤버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관리자 | |
조회 | 비즈니스 프로필을 보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관리자 | |
조회 | 성사로 표시되고 거래 등록 자격이 있는 기회에 대한 거래를 보고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관리자 | |
조회 | 팀의 일부인 경우에만 공동 판매 기회 만들기 및 관리 | 추천 사용자 | 공동 판매 기회 관리 |
조회 | 역할이 할당된 위치에 대한 공동 판매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추천 사용자 | |
조회 | 획득으로 표시되고 팀 구성원인 경우 거래 등록 자격이 있는 기회에 대한 거래를 보고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추천 사용자 | |
조회 | 비즈니스 프로필 만들기 및 관리 | 비즈니스 프로필 관리자 | 비즈니스 프로필 관리 |
조회 역할의 범위
이 표에서는 조회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거래 범위를 보여 줍니다.
작업 영역 | 범위 | 수행 가능한 작업 |
---|---|---|
조회 | 회사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전체 | 관리자와 사용자 모두 회사의 모든 위치에 대한 거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조회 | 조회 관리자는 모든 거래를 보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
조회 | 추천 사용자는 팀의 일부인 경우에만 모든 거래를 보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
조회 | 하나 이상의 위치 | 관리자와 사용자 모두 회사의 할당된 위치에 대한 거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조회 | 추천 관리자는 할당된 위치에 속한 모든 거래를 보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
조회 | 추천 사용자는 팀의 일원인 경우 할당된 위치에 속한 모든 거래를 보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
인센티브 관리
이 표에는 인센티브 작업 영역에서 시작, 관리, 편집, 분쟁 또는 볼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는 역할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작업 영역 | 액세스 수준 | 사용자 역할 | 자세한 정보 |
---|---|---|---|
인센티브 | 인센티브 시작 및 관리 | 인센티브 관리자 | 인센티브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다음 리소스 사용 |
인센티브 | 인센티브 프로그램의 모든 측면을 보고 편집할 수 있음 | 인센티브 관리자 | |
인센티브 | 은행 및 세금 세부 정보를 보고 편집할 수 있음 | 인센티브 관리자 | |
인센티브 | 리베이트 및 협동 수익 보기 | 인센티브 관리자 | |
인센티브 | 분쟁 인센티브 지급 | 인센티브 관리자 | |
인센티브 |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볼 수 있음 | 인센티브 사용자 | |
인센티브 | 인센티브 클레임을 보고 시작할 수 있음 | 인센티브 사용자 | |
인센티브 | 리베이트 및 협동 수익 보기 | 인센티브 사용자 |
파트너 센터 인사이트 데이터 보기
이 표에는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는 역할이 나열되어 있어 Insights 작업 영역에서 고객 및 구매에 대한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보고, 만들 수 있습니다.
작업 영역 | 액세스 수준 | 사용자 역할 | 자세한 정보 |
---|---|---|---|
자세한 정보 | 고객 데이터 분석 보기 | MPN 파트너 관리자 | |
자세한 정보 | 모든 보고 데이터 세트에 액세스, 파트너 지원 티켓 만들기, 내가 만든 파트너 지원 티켓 보기 | 임원 보고서 뷰어 | 파트너 센터 인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요 대시보드 보고서 |
자세한 정보 | 수익 및 고객과 직원 개인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 보고서에 액세스, 파트너 지원 티켓 만들기, 내가 만든 파트너 지원 티켓 보기 | 보고서 뷰어 |
제어판 공급업체
이 표에서는 CPV(제어판 Vendor)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는 역할을 보여 줍니다.
CPV(제어판 공급업체)는 CSP 파트너가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시스템을 파트너 센터 API와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입니다. 제어판 공급업체는 파트너 센터 대시보드 또는 파트너 센터 API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는 CSP 파트너가 아닙니다.
작업 영역 | 액세스 수준 | 사용자 역할 | 자세한 정보 |
---|---|---|---|
계정 설정 | CPV 프로필을 보고 관리합니다. | 글로벌 관리자 | CSP 파트너 시스템을 파트너 센터 API와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제어판 공급업체로 등록 |
계정 설정 | CPV 기능에 액세스해야 하는 사용자를 보고 관리합니다. | 글로벌 관리자 |
게스트 사용자
Azure AD 테넌트에서 사용자를 게스트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파트너 센터 기능에 대한 액세스 권한은 Azure AD 테넌트의 관리자가 할당한 역할에 따라 달라집니다.
게스트 사용자 | 사용자 역할 |
---|---|
MPN 파트너 관리자 | |
비즈니스 프로필 관리자 | |
조회 관리자 |
MPN 계정에 액세스, 보기 또는 관리하려면 게스트 사용자에게 전역 관리자 또는 MPN 파트너 관리자 역할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회사의 전역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적절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해 달라고 요청하세요.")
도움말 + 지원
이 표에는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는 역할과 사용자가 만들거나, 보거나, 액세스하거나, 제공할 수 있는 도움말 및 지원 수준이 나와 있습니다.
A Study on Automatic Tooth Root Segmentation For Dental CT Images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을 통해 만들어진 3차원의 데이터를 온라인상으로 치과 의료에 사용하게 되면서 정보의 왜곡이나 손실 없이 3차원의 해부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치아 이식술이나 교정을 하기 전에 안전하게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CT 데이터를 이용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개별 치아를 분할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CT 데이터 상에서 치아 영역과 그 주변 영역은 밝기의 차이가 크기 않기 때문에 개별 치아를 분할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특히 치아의 뿌리 부분으로 갈수록 치아 주변에 턱 뼈가 위치하기 때문에 더욱 구별이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으로 개별 치아를 분리하는 기존의 SRG(Seeded Region Growing) 알고리즘에 레벨-셋 방법을 추가하여 치아 뿌리 부분까지 더 정확하게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비교한 결과 개별 치아의 종류에 따라 19.2%의 정확도 향상을 얻을 수 있다.
Dentist can obtain 3D anatomical information without distortion and information loss by using dental Computed Tomography scan images on line, and also can make the preoperative plan of implant placement or orthodontics. It is essential to segment individual tooth for making an accurate diagnosi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in the brightness between the dental and adjacent area. Especially, the root of a tooth is very elusive to automatically identify in dental CT images because jawbone normally adjoins the tooth. In the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automatically tooth region segmentation, which can identify the root of a tooth clearly. This algorithm separate the tooth from dental CT scan images by using Seeded Region Growing method on dental crown and by using Level-set method on dental root respectively.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the results can be acquired average 19.2% better accuracy, compared to the result of the previous methods.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