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I. 비트코인이란? II.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III.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IV. 비트코인 동향 V. 결론 목 차 Contents 월요 세미나 2.
Presentation on theme: "Contents I. 비트코인이란? II.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III.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IV. 비트코인 동향 V. 결론 목 차 Contents 월요 세미나 2."— Presentation transcript:
2 Contents I. 비트코인이란? II.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III.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IV. 비트코인 동향 V. 결론 목 차 Contents 월요 세미나 2
3 1. 비트코인이란? 비트코인 개요 오픈소스, P2P 네트워크 기반의 비집중화(decentralized)된 디지털 화폐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에 의해 개발됨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 전통적인 화폐 개념과 다르게 은행이나 중앙 금융기관에 의해 관리되는 것이 아닌, 세계 각국 에 분산된 P2P 개인 네트워크간의 연합에 의존 공급과 거래는 P2P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공개키 기반의 거래를 수행 익명성과 공개성을 가짐 3 월요 세미나 Bitcoin 특징
4 1. 비트코인이란? 비트코인 개요 현재 국경 없는 거래가 급속하게 확대 중 비집중성, 개개인의 채광(Mining)을 통해 공급자(화폐 발행자)가 될 수 있음 안전한 암호화 과정(ECDSA, SHA256 등) 공개성과 익명성 제공 "아주 낮은 수수료"와 같은 정책적 요소 가장 널리 퍼진 "대안 암호화 화폐(Alternative Crypto Currency) 현재 전세계에 수많은 상품 및 서비스 거래가 존재 지불 및 통화가치 수단으로써의 영향력을 점차 확대하고 있음 실제 2013년 4월 초, 비트코인의 총 통화가치는 달러화 대비 16억불을 돌파함 이는 전 세계 국가 중 하위 20개국의 총 통화가치를 뛰어넘음 4 월요 세미나
5 1. 비트코인이란? 비트코인의 화폐 규격 기본 규격은 BTC라는 약어로 불리며 통화 액면가는 다음과 같이 통용됨 BTC = 비트코인 기본 단위 mBTC(milleBTC, 밀리BTC, 엠BTC) = 0.001 (1/,1000) BTC uBTC(microBTC, 마이크로BTC) = 0.000,001 (1/1,000,000) BTC 사토시 = 0.000,000,01 (액면 최소 단위) 2013년 4월초 비트코인의 달러화 대비 가치 1비트코인(BTC) = 약 16만원 1밀리 비트코인(mBTC) = 약 160원 1마이크로 비트코인(uBTC) = 0.16원 최근 1BTC의 가격이 1000달러 이상으로 급등하여 연초 13달러에 비해 약 100배 가까이 상 승함 5 월요 세미나
6 1. 비트코인이란? 비트코인의 수행과정 비트코인 거래에 참여하는 개인의 절차적인 측면 시스템 자원적 측면 컴퓨팅 장치 : 전자지갑과 거래를 수행할 개인의 PC나 스마트기기가 필요 인터넷 망 : 거래 데이터 일치를 위한 동기화, 화폐 발행, 거래 인증 등 전 과정이 비트코인 P2P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짐 분산 컴퓨팅 : 거래 인증 과정이 개인 컴퓨팅 장치와 인터넷망의 결합 하에 분산 컴퓨팅을 통해 이루어짐 실제 전세계 최고의 연산 수행 속도를 가진 미국의 슈퍼 컴퓨터 타이탄(17페타플롭스)에 견 주어 비트코인 분산 컴퓨팅 연산수행(782페타플롭스)이 50여배 더 많은 양을 기록함 페타플롭스 : 1초당 1,000조번의 수학 연산처리를 뜻함 6 월요 세미나 비트코인 전자지갑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실행 P2P 네트워크의 참여, 모든 암호화된 거래 데이터(Transaction Log) 동기화 전자지갑을 이용해 상품과 서비스를 주고받기 위한 거래 발생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비트코인 채굴 노드에 의해 인증
7 1. 비트코인이란? 비트코인 참여자 역할 비트코인에 참여하는 유저, 그룹들은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의 역할이 존재함 7 월요 세미나 공급자 ( 화폐 발행자 ) 개인이 인터넷 망과 컴퓨팅 장치 ( 그래픽카드 -GPU 의 연산속도에 좌우 ) 를 가지고 있으면 신규 비트코인 공급자 즉 화폐 발행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이는 금광 채굴에 빗대어 비트코인 채광 (Mining) 이라고 불림 수요자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결제 수단으로서 혹은 트레이딩 거래를 위해서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수요자가 존재 상점 (Merchant) 공급자와 수요자 간 상품 및 서비스 거래자의 중개 역할 무료로 제공되는 수많은 머천트용 API 및 지불 게이트웨이가 존재하며, 더 나아가 디지털 화폐로서의 비트코인을 실물 화폐와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많은 거래소 (Exchange) 가 존재 3rd Party 비트코인의 기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는 오픈 소스 (Open Source) 를 기반으로 하며, 이 공급자와 수요자를 위한 부가 소프트웨어 (3rd Party) 및 각종 하드웨어를 만들어내는 역할이 존재
8 2.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비트코인 발행 절차 비트코인의 공급(발행)은 평균 10여분마다 자동적으로 비트코인 채광 (Mining) 서버나 개인에게 주어짐 생성과 분배, 교환이 발생할 때마다 트랜잭션 로그(Transaction Log; 암호화된 거래 정보 파일) 형태로 각 클라이언트들에게 분산 전송, 승인되는 절차를 가짐 트랜잭션 로그는 최종 클라이언트의 ECDSA 전자서명 정책에 의해 인증되며, 비트코인 채광 이라고 불리는 수학적 난이도를 가진 블럭(Block) 풀기를 통해 트랜잭션 로그가 갱신됨 신규 발행 비트코인은 실상 "트랜잭션 로그의 집합체"로서 블럭이라고 할 수 있음 비트코인에 참여한 유저들은 컴퓨팅 장치의 연산 능력을 이용해 유효한 블 럭 찾기를 시도하고 이에 성공한 채광 유저(그룹)에게 자동으로 일정량의 비 트코인이 부여됨 2009년에서 2012년까지 매 신규 비트코인 블럭마다 50비트코인 지급됨 현재에 경우, 매 신규 비트코인 블럭마다 25비트코인이 지급됨 이후 2017년도에는 12.5로 줄어들며, 매 4년마다 반으로 줄어 2030년 정도에는 대부분의 비트코인이 발행 완료됨 8 월요 세미나
9 2.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비트코인 인증 프로토콜의 대략적인 수행 절차 지갑과 주소 Bob은 비트코인을 받고 물건을 팔며, Alice는 비트코인으로 물건을 구입한다고 가정함 1) Bob 과 Alice는 각각 자신의 컴퓨터에 비트코인 지갑을 가지고 있음 2) 하나의 비트코인 지갑에는 여러 개의 주소들이 존재 3) 각각의 주소명은 숫자와 글자의 조합(13jsMXPNdWYBNsPcYphT6cLJsgyd7JF4SZ; 160비트 공개키의 해쉬값)으로 이루어짐 4) 각각의 주소에는 일정한 양의 비트코인이 보관되어 있음 주소 생성하기 1) Bob은 Alice에게서 비트코인을 받기 위해 주소를 생성함 결제하기 1) Alice는 Bob에게 Bob이 방금 전 만든 주소로 비트코인을 보내고 싶다고 말함 2) Alice의 비트코인 지갑에는 각각의 주소들에 대한 비밀 키가 있고, 자기 지갑에 있는 여러 개의 주소들 중 비트코인이 송금되는 주소의 비밀 키를 가지고 자신의 결제 요청정보에 서 명을 수행 3) Alice의 결제 요청이 서명되면, 이제 비트코인 결제망에 있는 누구나 Alice의 공개키(Alice의 주소명)을 가지고 Alice의 결제 요청 서명을 검증하는 것이 가능함 9 월요 세미나
10 2.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비트코인 인증 프로토콜의 대략적인 수행 절차 거래 승인하기 1) 개리, 갈스, 글렌은 비트코인 광부(Miner) 2) 이들은 자신의 컴퓨터로 지난 10분간 일어났던 모든 거래 기록들을 모아 '거래 블록'에 저장 3) 광부들의 컴퓨터가 해시연산을 수행함 4) 채광용 컴퓨터(mining computer)들은 예전에 계산했던 해시 값 + 거래 데이터에 저장된 '거 래 블록' + Nonce를 통해 새로운 해시 값을 생성 (예전에 계산했던 해시 값에는 과거에 있던 모든 거래 기록들이 섞여 있음) 5) 해시를 계산하는 건 쉽지만, 문제는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이 새로운 해시 값에 대해 특정 조 건을 요구함 6) 광부들은 어떤 Nonce값을 넣어야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이 요구하는 해시값을 얻을 수 있는 지 모르므로 수많은 연산을 통해 해당하는 값을 구하기 위해 노력함 7) 매우 운이 좋게도 이번에는 개리가 시스템의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 값을 찾음 (이에 대한 보답으로 개리의 비트코인 지갑에는 50BTC가 있는 새 주소가 생성됨) 10 월요 세미나
11 2.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비트코인의 안전성, 익명성, 공개성 해시 체인에 안전성 시간이 지날수록 Bob과 Alice 사이에 있었던 거래 자료는 다른 거래 자료들과 뒤섞임 만일 거래 데이터를 조작하고 싶은 경우 개리가 해시값을 만드는데 사용했던 Nonce를 찾아 서 해시 값을 원래 거래 데이터로 돌려야 하며, 또 개리 이전 광부들이 사용했던 모든 Nonce를 알아내야 함 첫 53비트가 모두 0인 해시를 찾을 확률 : 2 53 (약 1경분의 1) 현재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해시 속도는 초당 15조회 안팎 주 체인에 들어갈 정도의 블록을 찾을 확률이 50%가 되려면 해시를 900조회 돌려야 함 네트워크의 전체 계산량 과반을 점유하지 않는 한 조작은 불가능에 가까움 11 월요 세미나
12 2.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비트코인의 안전성, 익명성, 공개성 익명성과 공개성 1. 비트코인을 다른 주소에 전달할 경우, 입력에는 공개키와 거기에 대응하는 비밀키로 전체 거래를 서명한 값이 들어감 출력에는 공개키가 주소와 일치하며(주소 자체는 공개키의 해시값), 서명이 올바른지 확인하 는 코드가 들어감 따라서, 해당 주소에 대응되는 공개키 쌍을 모두 가진 사람만이 이 거래를 승낙할 수 있음 2. 상대에게 주소를 알려주지 않은 채 비트코인을 받을 경우, 입력에는 거래의 서명이 들어감 출력은 그 서명을 보내는 주소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가지고 검증하는 검증하는 코드가 들어감 이 경우, 보내는 쪽은 먼저 원하는 만큼의 금액을 써서 출력을 만든 뒤, 받는 쪽에게 그 출력을 검증할 수 있는 서명을 보내 줌 해당 서명을 가지고 있는 사람만이 이 거래를 승낙할 수 있음 비트코인의 거래는 공개되어 있지만 거래 주체는 공개되어 있지 않다는 특징을 가짐 두 번째 형태의 거래를 통해 거래 주체를 추적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음 12 월요 세미나
13 2.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마이닝과 수수료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 "블록생성"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유지하는데 그 비용이 매우 크기 때문에 블록을 생성하고 DB를 유지 할만한 이유가 필요함 -> 마이닝과 수수료 마이닝 초기에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지 않을 때 블록 생성을 권장하기 위한 제도 블록을 생성할 때마다 정해진 만큼의 돈(BTC)을 함께 생성 궁극적으로 비트코인의 총량이 2100만 BTC 이상이 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음 비트코인의 디플레이션 (공급과잉에 의한 물가 하락) 방지에 매우 큰 역할을 수행 비트코인이 잘 정착될 경우, 초기 사용자들이 이득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있어 초기 수용자들의 유입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됨 수수료 마이닝과 더불어 블록 생성을 권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정 금액을 블록 생성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남은 거래 중 원하는 거래만을 생성할 블록에 포함시킬 수 있음, 이 경우 수수료가 높을 수록 블록에 그 거래를 더 빨리 넣을 가능성이 커짐 » 입출력이 지나치게 많은 거래나 자잘한 돈을 수많은 거래로 나눠서 뿌리는 공격 억제가 가능, 특정 크기 이상이거나 특정 금액 이하의 거래에 일정 이상의 수수료를 필요하게 하는 블록 생 성자가 많아진다면 공격을 할 이유가 적어짐 13 월요 세미나
14 2.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마이닝과 수수료 마이닝 비트코인 발표 이후 마이닝은 지속적으로 매우 어려워져 옴 초창기에 경우 비트코인 클라이언트도 마이닝 수행이 가능했으나, 2010년 7월 GPU를 사용 한 마이닝 기법이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마이닝 전용 소프트웨어가 널리 사용됨 점점 작업량이 늘어남에 따라, 마이닝 풀(Mining Pool) 등장; 사람이 함께 마이닝을 수행한 뒤 블록이 생성되면 작업량에 따라 이득을 분배하는 그룹 14 월요 세미나 비트코인 채굴 굴착기 (Mining Rigs) 예와 채굴 관련 게시글 ( 출처 :xbitcoinx.com)
15 2. 비트코인 수행 절차 및 요소별 특징 확인(Confirmation) 거래가 얼마나 많은 주체인 블록에 포함되었는지를 나타냄 매우 중요한 개념 확인 절차가 없으면 악의적인 사용자가 돈을 이중으로 소비하고 나서 그 소비 가 원상복구 되기 전에 불법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음 충분한 확인을 받지 않은 거래에 유래한 출력은 사용할 수 없게 통제함 거래 종류에 따라 필요한 확인의 숫자와 대응하는 평균적인 시간은 다음과 같음 일반 거래는 6회(1시간) 이상의 확인을 거쳐야 함 블록 생성으로부터 유래한 비트코인은 100회(16시간 20분)이상의 확인을 거쳐야 함 몇 초 사이에 블록이 두 번 이상 생성되는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1시간 동안 문제가 없으면 보통 문제 없다고 가정하며 마찬가지고 100회 제한도 다분히 임의적인 것임 일반적인 통화에 비해 매우 불편하므로 확인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 신뢰할 수 있는 주소(green address)에 대해 거래가 네트워크에 전파될 경우 확인될 것으로 가정하는 방안 - 예 : 온라인 지갑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신분확인 절차가 존재하므로 주인이 임의로 거래 조작을 하기 어려움) 전체 데이터베이스가 커질수록 이중소비 확인이 어려워지므로 최근 블록 몇개에 대해서만 검증하며 이전 출력은 신뢰할 만하다고 가정하는 방안 15 비트 코인이란? 월요 세미나
16 3.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가상의 익명 개발자 "사토시 나카모토" 비트코인과는 별개로, 원 개발자 사토시 나카모토가 과연 누구인가에 대한 논쟁은 끊이질 않음 이 사람의 행적이 묘연한 가장 큰 이유는 이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이름 자 체가 비트코인 공개만을 위해서 특별하게 만들어진 것 같다는 증거 때문 모든 트래픽은 tor를 통해서 익명화되었고, 메일 주소도 별도로 만들어 썼으며, 일본인 이름 을 사용하지만 공식 홈페이지를 포함한 그 어디에도 일본어를 사용한 기록이 없음 사람들 사이에선 일본인이 아닌 것으로 거의 기정사실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2010년, 비트코인 개발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종적을 감춤 통화의 신뢰성 유지를 위한 기술적 접근법 전체 P2P 네트워크는 모든 거래 기록들의 상세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블 럭체인(Block chain) 데이터에 의해 사전 동기화되어야 함 새로운 거래가 발생될 때마다 블럭을 생성하는 분산네트워크(채광 노드 혹 은 채광 서버)에 의해 반드시 소유자의 전자지갑과 거래(Transaction)의 인증 절차를 수행해야 함 16 월요 세미나
17 3.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통화의 신뢰성 유지를 위한 기술적 접근법 인증 절차는 일련의 수학적 보안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음 이 인증절차를 통해 컴퓨팅 연산 장치로 블럭을 생성하는 개체는 비트코인 화폐 발행자가 되며, 채광(Mining)이라고 불림 비트코인의 수학적 보안 프로토콜(51% vs 49% 의 원리에 기반한 해시 알고 리즘)은 블럭 체인이 해커에 의해 침탈되거나 혹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함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전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51%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면 거래 (Transaction) 변조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사실상 조작이 불가능함을 나타냄 채광에 성공할 경우 지난 초기에는 50비트코인, 현재는 25비트코인을 획득 할 수 있음 2009년부터 현재까지 1,100만 비트코인이 발행됨 이 블럭 체인의 완성은 평균 10여분마다 한번씩 채굴되도록 2주마다 한번씩 난이도가 자동으로 조정됨 17 월요 세미나
18 3.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비트코인 통화량 공급 신규 통화량은 매 4년마다 반으로 줄어들어서 2030년 경에는 대부분 발행이 완료됨 발행량은 비트코인 핵심 프로토콜에 규정되어 어떤 누구도 발행량을 늘리거나 줄이는 등의 임의 조정이 불가능함 18 월요 세미나 비트코인의 통화 공급량 정책 ( 출처 : Bitcoin wiki)
19 3.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오픈 소스 기반 비트코인 알고리즘 비트코인 정책에 동의하는 사람은 누구나 별도의 라이센스 비용 없이 비트 코인 전자지갑, 지불게이트웨이, 상점용 머천트 API, 거래소용 프로그램 혹은 채광용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개발할 수 있음 심지어 비트코인 알고리즘을 차용한 새로운 디지털 화폐를 만들어 낼 수 있 음 비트코인 프로토콜과 서드파티의 소스 코드는 어떤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독점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wiki, Sourceforge, Github)에 모두 공개되어 있음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비트코인 정책에 동의하는 사람들의 자발적인 공유와 협업 과정을 통해서 진행됨 19 월요 세미나
20 3.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비트코인은 공짜 수익을 얻는 수단? 비트코인은 신 기술의 화폐인 이유로 그 원리가 명확하지 않음에 따라 종종 비트코인이 다음과 같은 유형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음 온라인에서 숱하게 볼 수 있는 "손쉽게 빨리 돈벌기"와 같은 종류 시장 경제의 허점과 꾸준한 현금 보장을 말하면서 어떤 것을 설치하도록 요구 이윤을 가져다 줄 확실한 투자처의 한 종류 비트코인은 '손쉽게 빨리 돈벌기'와 같은 구조인가? 비트코인은 비트 코인이란? 그 어떤 일확천금이나 우발적인 이윤도 보장하지 않음 누군가 비트코인에 참여한다고 해서 자동적인 소득을 보장한다던가 비트코인 개발자 혹은 다른 누군가가 이윤을 획득할 수 있다와 같은 그 어떠한 분배 구조도 존재하지 않음 비트코인은 이윤을 발생시키는 구조와는 무관한 단지 성공하거나 실패할지도 모르는 실험 적 디지털 화폐임 비트코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돈을 벌 수 있는가? 아주 높은 사양의 하드웨어를 가지고 있는 극소수의 적은 그룹 중 하나는 특별한 소프트웨 어를 통해 채굴함으로써 비트코인을 벌 수는 있음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트코인에 참가하여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며 비 트코인 풀에 소속된다고 하여도 그 수익은 채굴 연산에 의해 발생한 전기료보다 낮음 대부분의 비트코인 유저들은 프로젝트의 컨셉이 흥미롭다는 이유로 참가함 20 월요 세미나
21 3.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비트코인은 공짜 수익을 얻는 수단? 투자처로서의 보장? 비트코인은 새롭고 흥미로운 전자 화폐이지만 화폐 가치는 어떠한 정부나 집단에 의해서도 보장되지 않음 비트코인의 환전율은 지속적으로 혹은 급격하게 등락을 거듭할 수 있으며, 규모가 작아 보 통의 펀딩 규모를 가진 집단에 의해 환전율이 조작될 수 있을 만큼 취약한 상태임 또한, 비트코인 거래 웹사이트의 계정 누출과 같은 보안 사고는 대규모의 매도 상황을 촉발 시킬 수도 있음 21 월요 세미나
22 3. 비트코인의 사실과 쟁점 비트코인 타임라인 - 사건/사고 부분 요약 2008년 6월 18일- 도메인 네임 "bitcoin"이 등록됨 2011년 3월 6일- 전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컴퓨팅 해쉬레이트가 일순 900Ghash/sec에 도달 후 500Ghash/sec로 회복 - 슈퍼컴퓨터나 대량의 좀비PC가 투입된 것으로 추측됨 6월 13일- bitcointalk.org 포럼 사이트 유저 allinvain이 25,000BTC(당시 $375,000의 가치)를 해킹 당했다고 신고 (지갑을 암호화하지 않음) 6월 19일 - MtGox DB에 오류 발생, email, 비밀번호 등 유저정보 DB 유출 - 누군가가 MtGox의 관리자 권한 계정에 접속, 수십 만개 비트코인을 판다는 가짜 오 더를 생성 6월 19일- MtGox의 비트코인 거래 가격이 $17.51에서 $0.01로 하락 - MtGox의 거래(Trading)가 7일동안 정지 6월 19일- 몇몇 유저들이 MtGox의 누출된 유저 정보를 통해, 약 600여 개의 동일한 유저 정보 로 Mybitcoin에 접속, 계정을 탈취 - 탈취된 계정 중 하나는 2000 BTC를 소유 2012년 3월 1일- Linode 웹호스팅 회사의 보안시스템을 뚫고 5만 BTC 가량 비트코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도난 사건이 발생 22 월요 세미나
23 4. 비트코인 국내외 동향 세계 비트코인 네트워크 노드 현황 2013년 기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전세계 각국 별 노드 현황 측정 시점부터 30일 이내의 트랜잭션 타임스탬프를 가진 실제 활동하는 노드를 대상 23 월요 세미나 국가노드 수전체 노드 대비 비율 중국 (China) 8522022.8% 미국 (USA) 7525820.2% 독일 (Germany) 303958.1% 러시아 (Russian Federation) 205145.5% 영국 (United Kingdom) 203315.5% 캐나다 (Canada) 118813.2% 호주 (Australia) 89962.4% 폴란드 (Poland) 78262.1% 스페인 (Spain) 76912.1% 프랑스 (France) 63571.7% 네덜란드 (Netherlands) 63291.7% 브라질 (Brazil) 62891.7% 우크라이나 (Ukraine) 62761.7% 이탈리아 (Italy) 57471.5% 스웨덴 (Sweden) 41121.1% 오스트리아 (Austria) 28040.8% 핀란드 (Finland) 26250.7% 인도 (India) 25820.7% 포르투갈 (Portugal) 24940.7% 체코 (Czech Republic) 24470.7% 기타 (Other) 5687015.2% 전 세계 비트코인 네트워크 노드 현황 ( 출처 :Bitnodes.io)
24 4. 비트코인 국내외 동향 중국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나라 중국의 비트코인 거래소 BTC China는 설립된 지 2년 만에 전세계 비트코인의 30%를 거래 하며, 세계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소인 일본 Mt. Gox의 거래량을 넘어 1위 거래소가 됨 2100만 비트코인(약 25조원) 중에 1100만 비트코인(15조원)이 발행되었는데, 62%인 744만 비트코인(9조원)를 중국인이 소유하고 있음 그러나, 2013년 12월 5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금융기관들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 는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의 유통이나 사용의 금지를 권유함 중국 정부는 개인간 비트코인 거래 자체는 비트 코인이란? 금지하지 않아 앞으로 비트코인에 대해 전면적인 규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불투명한 상태 24 월요 세미나
25 4. 비트코인 국내외 동향 미국 워드프레스(Wordpress) 세계 최대의 오픈 소스 저작물 관리 시스템으로 워드프레스에서는 애드온 형태로 비트코인 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레딧(Reddit)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서 운영중인 소셜 뉴스 웹사이트로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Coinbase라는 새로운 기능을 발표함 기부, 응용 서비스 또는 게임과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매 등에 사용 25 월요 세미나
26 4. 비트코인 국내외 동향 미국 비트코인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 크레이그리스트(Craiglist, 미국의 가장 큰 규모의 온라인 벼룩시장)에서 39,000달러에 달하 는 차가 비트코인으로 거래 되었음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중개 서비스를 통해 고액의 부동산 거래가 진행됨 bitcoinstore 웹사이트를 통해 전자제품과 기기에 사용할 디지털 게임들을 구매할 수 있으며 coinDL에서는 디지털 음원을 구매할 수 있음 또한 Pizzaforcoins.com을 통해 도미노 피자를 안방에서 20여분 이내로 바로 받을 수 있는 등 천여 개가 넘는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사이트들이 존재함 26 월요 세미나
27 4. 비트코인 국내외 동향 미국 미정부의 정책적 규제 2013 3월, 미연방 정부 재무성 산하의 금융정보분석원에서 "디지털 화폐 금융사업자에게는 돈세탁 방지법과 은행비밀방지법을 적용할 것"이라며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화폐를 겨냥 한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함 미국 정부의 경우 아직은 가이드라인에 불과하긴 하지만 디지털 화폐를 규제 적용 하에 제 도권 내 수용한다는 의지를 표방함 이는, 혹시나 미 연방정부에서 비트코인 P2P 네트워크를 전체적으로 차단할지 모른다는 억측 과 우려 같은 아주 중요한 한가지 불확실성이 제거되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음 27 월요 세미나
28 4. 비트코인 국내외 동향 비트코인 컨퍼런스 지속적인 비트코인 컨퍼런스 개최 2011년부터 지금까지 세 차례에 걸쳐 컨퍼런스가 이루어짐(20여 개 업체가 후원) 2011년 제1회 비트코인 컨퍼런스 - 체코 프라하 2012년 제2회 비트코인 컨퍼런스 - 영국 런던 2013년 제3회 비트코인 컨퍼런스 - 미국 산호세 관련 업체들에 의해 개발된 다양한 형태의 비트코인 관련 기기 등장 비트코인 ATM기 하드웨어형 비트코인 전자지갑 비타칩 - 스마트카드형태 28 월요 세미나 2013 비트코인 컨퍼런스 시연 제품 사진
29 4. 비트코인 국내외 동향 국내 2013년 12월, 한국은행, "비트코인, 화폐로 사용 어려움" 지난 10월, 비트코인에 대해 "비트코인을 지급수단으로 사용 가능한 전 세계의 온오프라인 매장 수는 800여 개에 불과하다"며 "한국엔 아예 매장이 없는 등 통용성이 매우 제한적"이 라고 말함 지난 12월, 화폐가 교환의 매개로 쓰이려면 가치가 안정돼야 하는데 비트코인은 1비트코인 당 500달러에서 한달 만에 1200달러로 폭등하는 등 변동이 심하다는 게 이유 29 韓銀, " 비트코인, 화폐로 사용 어렵다 ", ( 출처 : 경향신문 2013-12-02) 韓銀 " 가상화폐 ' 비트코인 ' 통용 어렵다 ", ( 출처 : 연합뉴스 2013-10-18)
30 4. 비트코인 국내외 동향 국내 국내 최초 비트코인 거래소 "코빗" 2013년 4월 설립된 후 거래량이 차츰 늘어 지금은 하루 3억원 어치의 비트코인이 이곳을 통 해 거래되고 있음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는 빵집 - 파리바게트 (인천시청역점) 12월 1일부터 비트코인을 사용하여 케잌을 포함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음 한국 비트코인 거래소 코빗을 통해 비트코인을 구매 후 사용 (비트코인 전자지갑 필요) 30 월요 세미나 비트코인으로 X- 마스 케익을 구매해볼까 ?, ( 출처 : 머니투데이, 2013-12-08) 코빗에서 5 만원으로 거래 수수료를 제 외하고 0.4455BTC 을 구입할 수 있음 구입 완료 후 스마트폰 전자지갑 앱에서 지갑 주소를 확인하고 코빗에 입력하면 0.0002BTC 의 이체 수수료를 제외하고 0.4453 비트코인을 수령할 수 있음 코빗에서 5 만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구 매하는데 들어간 수수료는 약 720 원 코빗에서 5 만원으로 거래 수수료를 제 외하고 0.4455BTC 을 구입할 수 있음 구입 완료 후 스마트폰 전자지갑 앱에서 지갑 주소를 확인하고 코빗에 입력하면 0.0002BTC 의 이체 수수료를 제외하고 0.4453 비트코인을 수령할 수 있음 코빗에서 5 만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구 매하는데 들어간 비트 코인이란? 수수료는 약 720 원
31 5. 결 론 비트코인은. 포괄적 개념으로서 실체화되지 않은 디지털 암호화 화폐라고 할 수 있음 비트코인 시스템의 통화 단위로서 가격 또는 수량의 기준으로 사용됨 비트코인의 다양한 문제점 보안상 위협 펀드 조작에 따른 가치 등락의 위협 비트코인을 바라보는 나라별 입장이 판이한 점 비트코인의 향후 방향 황금 알을 낳는 거위처럼 이윤창출을 위한 수단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아직까지는 학술적으로 연구와 취약점 보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됨 31 월요 세미나
비트 코인이란?
비트코인은 실체가 없는데 그걸 어떻게 믿고 투자하냐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우선 화폐의 가치가 생기는 이유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비트코인 이란 무엇인가?, 비트코인이 실체가 없다면 우리가 쓰는 만 원짜리 지폐는 실체가 있는 것일까요? '만 원의 실체는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만 원의 실체는 만 원짜리 지폐이지 않냐'는 정도의 반론밖에 제기할 수 없을 겁니다. 만 원이라는 화폐의 가치 역시, 사회가 합의했고 언제 어디서나 합의가 이뤄질 것을 우리 모두가 믿고 있기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약속에 대해 보증해주는 것은 정부입니다. 결국 정부의 신용이 우리나라 지폐 만 원의 가치를 보증해주는 것입니다. 물론 그런 일은 없을 것이고 일어나서도 안 되겠지만 우리나라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요? 보증해주는 주체가 없어지기 때문에 원화에 대한 믿음도 사라지게 됩니다.
이에 반해 비트코인 가치는 누구도 보증해주지 않습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들은 정부의 보증에 신뢰의 기반을 둔 원화랑은 달리, '코드의 보안'에 신뢰의 기반을 돕니다. 여기서 말하는 코드는 비트코인이라는 가상자산 네트워크가 운영되는 시스템 입니다.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컴퓨팅 리소스로 구동되는 것입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는 구조
코드의 내용은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으며 누구도 코드를 변경할 수 없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사람들 사이에서 합의된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의 투명성과 보안성으로 인해 비트코인 탄생 이후 12년 동안 그 가치를 믿는 사람들이 증가하다보니 가격이 상승 하게 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이 가치가 있는 이유는 '앞으로도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는 늘어날 것이고 비트코인의 공급량을 줄어들기 때문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에 관심을 가지게 될 사람과 가지 고 싶은 사람은 점점 늘어나는데, 그 수량은 한정되어있고 시장에 풀릴 수 있는 양은 2100만 개로 비트 코인이란?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가치라는 건 사람들이 그것을 믿을 때 생겨나는 것입니다. 비트코인이 가치가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 인의 가치를 믿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법정화폐의 가치는 정부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생겨나는 반면 비트코인의 가치는 공개된 코드의 신뢰성과 투명성 으로부터 생겨납니다.
비트코인 만들어진 이유, 왜 만들어졌나요?
비트코인은 신원 불분명의 프로그래머 '나카모토 사토시'의 백서로부터 탄생 했다고 전해집니다. 백서에는 비트코인 네트워크 구현의 필요성과 그 결과 그리고 구현을 위한 금융적, 컴퓨터 공학적 원리가 기술되어 있었습니다. 나카모토 사토시는 수백 명의 암호학 전문가들에게 자신의 백서를 메일로 보냈습니다.
비트코인을 개발한 사람으로 알려진 사토시 나카모트에 대하여
2008년은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현대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진 시점에 맞춰 2009년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를 목표로 기존 화폐와 금융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 탄생했습니다. 크나큰 변동성으로 인해 '사기, 투기, 도박'이라고 여겨졌던 비트코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는 별개로, 비트코인은 기존 제도권 금융시스템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탄생 한 것입니다.
사토시가 보내온 메일의 제목은 'bitcoin P2P e-cash paper'로 직역하면 '비트코인, 개인간 거래 전자 현금 백서'입니다. 메일의 서문은 '제3의 신용기관이 필요 없이 완전히 개인 간의 거래가 가능한, 새로운 전자화폐 시스템을 개발해오고 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사토시라는 사람의 정체는 아직까지도 미스터리인 상태입니다.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라는 이야기도 있고 한 집단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이전부터 암호화폐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들과 금융기관들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암호 및 보안 전문 가들은 1990년대 초부터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퍼펑크'에 모여 전자화폐에 대한 수많은 논의와 시도를 해왔습니다. 이들이 암호 화폐 기술에 몰두했던 것은 익명성을 지닌 금융 결제 방법을 구현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중앙기관(기업, 은행)을 통해 금융 결제가 이루어질 때는 우리의 소비 패턴과 정보가 모두 데이터 상에 남게 되는데, 사이퍼펑 크는 이러한 시스템에 불만을 느꼈고 소비에 대한 프라이버시가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들은 매주 모임을 열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발전시켰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금융시스템을 구현할 방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했습니다. 그러던 중 개인 간 직거래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자산을 소개하는 나카모토 사토시의 메일이 도착하자 이들의 이목을 끌었 던 것입니다.
즉 비트코인이란 자산은 어느날 나카모토 사토시에 의해 '짠' 하고 나타난 것이 아니라 나름의 학술적 역사와 전통 속에서 나 온 결과물인 셈입니다. 해당 분야에 대해 연구해오던 사람들 사이에서 그 개념이 탄생했고 점차 발전해 나카모토 사토시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던 중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했고 사람들은 은행이라는 시스템과 국가의 신용 보증이 결코 개인의 자산을 완벽하게 보호해주지 못한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이때 현대 금융시스템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가치를 만들어내는 새로운 자산이 등장했으니, 바로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 시장의 미래?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 시장에 대한 여러 의문을 갖고 있습니다. 과연 이 시장은 끝이 날 것인가에 대한 대답은 '안 끝난다'입니다. 2021년 5월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하나인 업비트의 거래량이 코스피 전체 거래량을 넘기는 일이 있었을 정도로 현재 가상자산 시장은 커져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외에도 수많은 가상자산들이 탄생하게 되었고 디파이나 NFT 등 코인 투자시장에 있지 않은 사람들은 무슨 말인지도 모를 수많은 사업들이 생겨났습니다.
가상자산 투자시장의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으며 주식, 부동산 등의 다른 자산처럼 역사가 지속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새로운 기회는 더 많이 생겨날 것입니다.
구글서 '비트코인·이란' 검색량 4450% 급증… 왜?
최근 발생한 미국과 이란 간 갈등이 비트코인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이는 비트코인이 투자자산이 아니라 금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구글트랜드에 따르면 1월 7일부터 9일 사이 ‘비트코인 이란’ 검색량이 급증했다./구글트랜드 갈무리
8일(현지시간) 구글트랜드 에 따르면 구글에서 ‘비트코인 이란(Bitcoin Iran)’ 검색량이 이틀간 445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에서 ‘비트코인 이란’을 가장 많이 검색한 국가는 나이지리아와 캐나다, 싱가포르, 미국, 아랍에미레이트 등 순이다. 관련 검색어는 솔레이마니, 이란 장교, 비트코인 가격(precio bitcoin), 이란vs미국 등이다.
비트코인이 이란과 함께 검색어에서 빠르게 급증한 이유는 미국과 이란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며 세계 증시가 요동 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불안한 국제정세 속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들쑥날쑥 하다. 이란이 미군 기지에 2차 공습을 가한 8일 오전 비트코인은 암호화폐 시황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 기준 약 6% 오르면서 1000만원을 살짝 밑돌았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력 대응보다는 추가 경제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히자 4% 이상 떨어졌다.
이는 금의 역사적 차트와 비슷한 흐름이다. 통상 글로벌 경기가 불안해질수록 금이나 채권, 원유 같은 안전자산이 각광을 받는다. 비트코인은 대표적인 암호화폐로서 정부 눈을 피해 손쉽게 옮길 수 있는데다가 익명성까지 보장돼 추적이 어려워 금 대체재로 각광을 받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일부 외신은 "비트코인이 금 시세 차트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비트코인은 이제 주식같은 기존 투자 자산이 아니라 금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론도 나온다. 안전자산으로 보기에는 가격 변동성과 규제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는 의견이다. 국제금융센터의 김용준·이지현 연구원은 2019년 10월 ‘비트코인과 안전자산 간 상관성 점검’ 보고서에서 "비트코인 취약점이 단시일 내 해소되기 어려워 안전자산으로서 위상에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유로퍼시픽캐피털의 피터 스니프 대표는 트위터를 통해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비트코인과 금 가격이 올랐지만, 비트코인은 안전자산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란이 미국 경제제재 대상국이라는 특수성을 갖고 있는 만큼, 글로벌 경제와 함부로 연관지어선 안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대훈 SK 증권 연구원은 "9월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시설 드론 공격이나, 홍콩 시위 등 경제나 정치적 불확실성이 있을 때 비트코인 가격은 비트 코인이란? 상승했다"며 "북한과 이란은 경제제재를 받고 있어 조금 다른 시장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비트 코인이란?
비트코인은 실체가 없는데 그걸 어떻게 믿고 투자하냐는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우선 화폐의 가치가 생기는 이유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비트코인 이란 무엇인가?, 비트코인이 실체가 없다면 우리가 쓰는 만 원짜리 지폐는 실체가 있는 것일까요? '만 원의 실체는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만 원의 실체는 만 원짜리 지폐이지 않냐'는 정도의 반론밖에 제기할 수 없을 겁니다. 만 원이라는 화폐의 가치 역시, 사회가 합의했고 언제 어디서나 합의가 이뤄질 것을 우리 모두가 믿고 있기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약속에 대해 보증해주는 것은 정부입니다. 결국 정부의 신용이 우리나라 지폐 만 원의 가치를 보증해주는 것입니다. 물론 그런 일은 없을 것이고 일어나서도 안 되겠지만 우리나라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요? 보증해주는 주체가 없어지기 때문에 원화에 대한 믿음도 사라지게 됩니다.
이에 반해 비트코인 가치는 누구도 보증해주지 않습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들은 정부의 보증에 신뢰의 기반을 둔 원화랑은 달리, '코드의 보안'에 신뢰의 기반을 돕니다. 여기서 말하는 코드는 비트코인이라는 가상자산 네트워크가 운영되는 시스템 입니다.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컴퓨팅 리소스로 구동되는 것입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는 구조
코드의 내용은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으며 누구도 코드를 변경할 수 없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 사람들 사이에서 합의된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의 투명성과 보안성으로 인해 비트코인 탄생 이후 12년 동안 그 가치를 믿는 사람들이 증가하다보니 가격이 상승 하게 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이 가치가 있는 이유는 '앞으로도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는 늘어날 것이고 비트코인의 공급량을 줄어들기 때문이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에 관심을 가지게 될 사람과 가지 고 싶은 사람은 점점 늘어나는데, 그 수량은 한정되어있고 시장에 풀릴 수 있는 양은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가치라는 건 사람들이 그것을 믿을 때 생겨나는 것입니다. 비트코인이 가치가 있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 인의 가치를 믿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법정화폐의 가치는 정부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생겨나는 반면 비트코인의 가치는 공개된 코드의 신뢰성과 투명성 으로부터 생겨납니다.
비트코인 만들어진 이유, 왜 만들어졌나요?
비트코인은 신원 불분명의 프로그래머 '나카모토 사토시'의 백서로부터 탄생 했다고 전해집니다. 백서에는 비트코인 네트워크 구현의 필요성과 그 결과 그리고 구현을 위한 금융적, 컴퓨터 공학적 원리가 기술되어 있었습니다. 나카모토 사토시는 수백 명의 암호학 전문가들에게 자신의 백서를 메일로 보냈습니다.
비트코인을 개발한 사람으로 알려진 사토시 나카모트에 대하여
2008년은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현대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진 시점에 맞춰 2009년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를 목표로 기존 화폐와 금융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 탄생했습니다. 크나큰 변동성으로 인해 '사기, 투기, 도박'이라고 여겨졌던 비트코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는 별개로, 비트코인은 기존 제도권 금융시스템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탄생 한 것입니다.
사토시가 보내온 메일의 제목은 'bitcoin P2P e-cash paper'로 직역하면 '비트코인, 개인간 거래 전자 현금 백서'입니다. 메일의 서문은 '제3의 신용기관이 필요 없이 완전히 개인 간의 거래가 가능한, 새로운 전자화폐 시스템을 개발해오고 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사토시라는 사람의 정체는 아직까지도 미스터리인 상태입니다.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라는 이야기도 있고 한 집단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이전부터 암호화폐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들과 금융기관들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암호 및 보안 전문 가들은 1990년대 초부터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퍼펑크'에 모여 전자화폐에 대한 수많은 논의와 시도를 해왔습니다. 이들이 암호 화폐 기술에 몰두했던 것은 익명성을 지닌 금융 결제 방법을 구현하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중앙기관(기업, 은행)을 통해 금융 결제가 이루어질 때는 우리의 소비 패턴과 정보가 모두 데이터 상에 남게 되는데, 사이퍼펑 크는 이러한 시스템에 불만을 느꼈고 소비에 대한 프라이버시가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들은 매주 모임을 열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발전시켰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금융시스템을 구현할 방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했습니다. 그러던 중 개인 간 직거래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자산을 소개하는 나카모토 사토시의 메일이 도착하자 이들의 이목을 끌었 던 것입니다.
즉 비트코인이란 자산은 어느날 나카모토 사토시에 의해 '짠' 하고 나타난 것이 아니라 나름의 학술적 역사와 전통 속에서 나 온 결과물인 셈입니다. 해당 분야에 대해 연구해오던 사람들 사이에서 그 개념이 탄생했고 점차 발전해 나카모토 사토시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던 중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했고 사람들은 은행이라는 시스템과 국가의 신용 보증이 결코 개인의 자산을 완벽하게 보호해주지 못한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이때 현대 금융시스템과는 전혀 비트 코인이란? 다른 방식으로 가치를 만들어내는 새로운 자산이 등장했으니, 바로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 시장의 미래?
많은 사람들이 비트코인 시장에 대한 여러 의문을 갖고 있습니다. 과연 이 시장은 끝이 날 것인가에 대한 대답은 '안 끝난다'입니다. 2021년 5월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중 하나인 업비트의 거래량이 코스피 전체 거래량을 넘기는 일이 있었을 정도로 현재 가상자산 시장은 커져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외에도 수많은 가상자산들이 탄생하게 되었고 디파이나 NFT 등 코인 투자시장에 있지 않은 사람들은 무슨 말인지도 모를 수많은 사업들이 생겨났습니다.
가상자산 투자시장의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으며 주식, 부동산 등의 다른 자산처럼 역사가 지속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새로운 기회는 더 많이 생겨날 것입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