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통화 사용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2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Remove

바젤Ⅲ, 은행 외환포지션 산출시 별도 기준통화 사용 허용한다

은행에서 외환포지션을 산출하기 위해 대차대조표(B/S)를 작성할 경우 기준통화와 상이한 별도의 기준통화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또 인덱스(지수형) 상품에 대해서는 단일 위험가중치를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이같은 완화조치로 글로벌 은행의 총위험가중자산 대비 시장리스크 비중은 2017년말 기준 1.9%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14일(현지시간) 스위스 바젤에서 개최된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 산하 GHOS(Meeting of the Group of Governors and Heads of Supervision) 회의에서는 2022년 시행 예정인 바젤Ⅲ 시장리스크 규제체계를 이같이 완화키로 했다.

이번 규제체계 수정안의 주요 내용은 크게 △트레이딩계정 분류 △표준방법 △내부모형법 △단순표준방법 네 가지다. 우선 트레이딩계정의 경우 금융상품을 은행계정과 트레이딩계정으로 분류하기 위한 분유요건 및 절차를 명확히 하고, 투자펀드의 편입자산을 모두 확인할 수 없더라도 동 펀드의 일별 호가를 입수할 수 있는 경우 시장리스크를 적용키로 했다. 시장리스크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외화포지션의 범에에는 본점과 자회사간 거래뿐 아니라 본지점간 거래도 포함했다.

내부모형법에서는 검증방법을 개선하고 모형의 흠결이 중대하지 않을 경우 모형 사용을 허용키로 했다. 유동성이 낮은 금융상품에 대해서는 규제자본 산출규모를 완화 조정했다.

  • [2보] 한국은행 연간(2018년·2019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 문구 변화(표)
  • 한국은행 물가안정목표제 변화(표)
  • [전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신년사

표준방법의 경우 우선 외환리스크의 경우 낮은 위험가중치가 적용되는 고유동성 환거래의 요건을 완화하고 외환포지션 산출시 B/S 작성 기준 통화와 상이한 별도의 기준 통화 사용을 허용키로 했다. 주식 및 신용리스크 부문은 인덱상 상품의 규제자본 계산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별도의 단일 위험가중치를 마련했다. 옵션상품에서는 외환리스크 중복계산, 규제자본 산출규모의 급격한 증가 등을 해소하기 위해 규제자본 계산식을 개선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금융상품 가격간 상관관계를 고려해 규제자본 산출시 적용하는 시나리오도 수정했다. 이밖에도 금리와 외환 등 각 리스크 범주별 위험가중치를 하향 조정키로 했다.

이번 기준서 수정으로 글로벌 은행의 총위험가중자산 대비 시장리스크 비중은 2017년말 기준 4.4%에서 5.3%로 상승할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이는 2016년 1월 공표된 기존 기준서를 적용할 경우 7.2%보다 낮은 것이다.

나성오 한은 금융규제팀 과장은 “은행 트레이딩계정에서 손실대비 자본을 적립할 경우 표준방법이나 내부모형법 중 하나를 적용해야 한다. 2016년 1월 발표된 규제체계가 둘 다 복잡하고 규제수준이 높다는 인식들이 있어왔다”며 “이번에 이를 단순화하고 규제수준도 완화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자료 다운로드 구분선사전 소개

정의

내용

국내 상행위(商行爲)에서는 모든 상품의 가격이 자국 통화로 표시되고, 자국 통화는 무제한의 통용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품을 매매할 경우 화폐의 수수를 통하여 상품이 자유롭게 이전된다.

그러나 한 나라의 통화는 일반적으로 당해국 안에서만 적용되므로 대외무역에서 수출상은 외국에 기준통화 사용 상품을 판매하고 그 대가로 받은 외국환을 자국 통화로 교환해야만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수입상은 외국에서 상품을 구입할 경우, 그 대가를 지급하기 위하여 자국 통화를 외국환으로 교환하여야 한다.

이때에 자국 통화와 외국환과 교환비율을 환율 또는 환시세라고 한다. 외국환거래는 실질적으로 외국환이라는 재화의 매매라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국환의 가격인 환율도 모든 재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칙적으로 외국환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고 또한 변동된다.

일반적으로 환시세는 두 가지 방법으로 표시된다. 즉 환시세는 외국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자국 통화의 단위 수로 표시할 수도 있고, 거꾸로 자국 통화 1단위와 교환되는 외국통화의 단위 수로 표시할 수도 있다.

외국환시장에서 매일매일의 거래로 성립되는 각종 환율은 외환의 성질과 목적 그리고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외국환관리규정에 따라 기준 환율과 외국환 매매율로 구분하고, 또한 외국환 매매율을 다시 한국은행 집중률, 외국환은행간 매매율, 그리고 외국환은행의 대고객 매매율로 나누어 보기로 하겠다.

① 기준 환율: 「외국환관리법」을 보면 기준 환율은 재무부장관이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 결정하게 된다. 현재 기준환율은 미화 1달러당 480원으로 되어 있고, 이 기준환율은 외국환 매도율의 하한선이 되기 때문에 외국환은행의 대고객 전신환 매매율이나 한국은행의 집중기준율 그리고 외국환은행간의 매매율은 이보다 더 낮게 책정할 수는 없다.

② 외국환은행간 매매율:외국환은행 상호간의 거래에서 형성되는 은행간 환율은 외국환의 이른바 시장가격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 은행간 거래에서는 전신환이 이용되기 때문에 은행간 환율은 실제로는 전신환율을 의미하며 이것이 기타 환율 산출의 기준이 된다.

외국환은행간의 외환거래에 적용되는 은행거래율은 본지점률(inter-office rate)과 대은행률(inter-bank rate)로 나눌 수 있다. 본지점률은 동일은행의 본지점간 외환거래에 적용되는 환율을 말한다.

자유환율제도에서는 대은행률이 본지점률의 결정기준이 되지만 우리 나라와 같이 아직 외국환시장의 기능이 불완전한 상태에서는 환율의 형성이 외국환시장의 수급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보다 공정환율제도하(公定換率制度下)의 집중률(集中率)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향이 짙다.

대은행률은 외국환은행 상호간의 환거래에 적용되는 환율로서 외환시장의 수급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은행간의 외환거래는 대체로 대고객거래의 결과로 발생되는 것이므로 은행간 환거래의 수급관계는 자동적으로 대고객거래에 의해서 규제된다.

외환교환실은 외국환은행간 거래를 보다 활발하게 하고 대고객매매율 산출의 기준인 시장률의 형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대한금융단 내에 설치하되, 부득이한 경우에는 참가은행이 합의하여 정한 장소에 둘 수 있게 되어 있다. 참가은행은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포함한 외국환은행 및 한국은행 등이다.

③ 한국은행 집중률:한국은행 집중률이란 정부집중기관인 한국은행이 마치 외환은행에 대해서 은행의 은행(bank of banks)과 같은 위치에서 외환은행에 대한 조정거래의 상대자 기능을 담당할 때 이루어지는 대은행거래의 환율이다. 이는 한국은행 집중기준율과 집중매매율로 분류된다.

한국은행 집중기준율은 한국은행 총재가 외국환은행간 매매율 및 외환증서의 자유로운 매매에 따라 시장에서 형성되는 율인 시장률의 상하 100분의 2의 범위 내에서 외국환시장의 전망을 감안하여 정한다.

다만, 시장률이 형성되지 않은 지정영수통화(指定領收通貨)의 집중기준율은 최근 주요 국제금융시장에서 형성된 미화(美貨)의 매매 중간율을 당일 미화의 한국은행 집중기준율로 재정(裁定)한 율로 한다.

④ 외국환은행의 대고객매매율:이 매매율(대고객시세)은 외환은행이 무역상사나 그 밖의 고객, 말하자면 해외여행자·국제관광객 그리고 해외송금 의뢰자에게 외환을 매도하거나 또는 그들에게서 외환을 매입할 때의 외환율을 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외환시세는 여러 가지 이질적 복합요소를 내포하고 있는데, 은행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수료나 시세변동의 위험보험료, 그리고 금리 등의 요소를 포함시켜 정하게 된다. 대고객환율에서 은행이 고객과 매매하는 외국환의 종류가 다양함에 따라 다양한 환율이 존재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전신환·일람급어음·기한부어음 등에 대하여 상이한 환율이 존재한다.

일반 상품이 시장메커니즘(mechanism)을 통하여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에서 상품의 가격이 형성되는 것처럼 외국환도 일종의 상품이므로 그 환율도 역시 외국환시장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서 수요와 공급의 균형점에서 결정된다는 점에서 이치는 같다.

그러나 외국환이라는 특수한 상품은 일반 상품과는 달라 환율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다. 따라서 정부는 환율결정에 개입하여 환율의 변동폭을 조정함으로써 국민경제의 안정과 성장을 꾀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외국환에 대한 자연적인 수요와 공급이 시장메커니즘을 통하여 환율결정 과정에 어떠한 변동과 영향을 미치고, 또한 이때 외환정책당국은 어느 정도로 외국환시장에 개입하여 이를 조정하느냐에 따라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환율제도는 광복 후부터 1964년 이전까지는 고정환율체제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1964년 5월 3일 외환증서제도(外換證書制度)에 따른 시장률을 기준으로 환율이 변동되도록 하는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였다.

채택 당시에는 외환증서시장의 형성, 수입쿼터제의 폐지, 외환시장 조작기금의 확보 등 제반요건이 갖추어지지 못하여 환율변동이 일시 보류되어 오다가 1965년 3월 22일을 기하여 실제로 환율이 변동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환율제도는 제도적으로는 변동환율제도이지만, 실제적으로는 고정환율제도라고 할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는 우리 나라의 환율제도를 고정환율제도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우리 나라의 변동환율체제를 단일 변동환율체제라고 함은 종전의 공정환율 및 일반 환율의 복수환율체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외환증서시장의 시장률을 기준으로 단일의 환율이 결정, 고시된다는 것을 뜻한다.

우리 나라 환율의 공정시세(公定時勢)는 1945년 8월 15일 이래 1964년 5월 3일까지 무려 14차에 걸쳐 변동되어 왔다. 광복과 더불어 군정(軍政)이 실시되자 군정 당국은 1945년 10월 1일 당시의 조선은행권인 원화와 미국 달러의 공정시세를 최초로 1달러 대 0.015원(15圓)으로 정하였는데, 이것은 일본의 공정시세를 그대로 적용한 것이었다.

이러한 외환시세는 단순히 군정청의 대 민간 채무지불을 위한 것에 불과하였다. 1달러 대 0.015원의 공정시세는 1947년 7월 15일에 0.05원(50圓)으로 인상되었고 1948년 10월 1일에는 0.45원(450圓)으로 다시 인상되었다.

한편 대충자금계정이 1948년 12월 10일자로 체결된 우리 나라와 미국간의 원조협정에 따라 설정됨으로써 대충자금환시세는 당시의 공정시세와 동률인 1달러 대 0.45원(450圓)으로 책정되었다.

이 때의 공정시세는 종전의 1달러 대 0.45원(450圓), 일반시세는 1달러 대 0.9원(900圓)을 적용하였는데, 그 원인은 공정시세와 실제시세 간의 격차가 크게 벌어졌기 때문이다.

1950년 4월에 가서는 대통령령에 의하여 「외국환관리규정」과 「외국환매매규정」이 제정되고, 공정시세는 같은 해 5월 1일에 1.80원(1,800圓)으로 인상되었으나 같은 해 5월 15일에 가서는 외환보유 달러를 등록무역업자와 승인을 받은 실수요자에게 공개 경매하도록 함으로써 일시 1.60원(1,600圓) 수준으로 인하된 바 있다. 그러나 다시 같은 해 6월 10일에는 1.80원(1,800圓)으로 다시 인상되고 말았다.

6·25전쟁이 발발, 1950년 7월 28일 유엔군의 원화(圓貨) 사용에 대하여 우리 정부와 미국 정부 간에 체결된 협정에 따라 유엔군 대여금에 대한 상환율은 원화 사용 당일의 실제시세를 적용하기로 하였다.

1950년 11월 1일에 가서는 6·25전쟁 이후의 물가상승과 경제질서의 혼란으로 공정시세와 실제시세 사이의 격차가 심해짐에 따라 외환시세는 1.80원(1,800圓)에서 2.50원(2,500圓)으로 인상되어 1년간 유지되었다.

1951년 5월 1일에는 대충자금시세로 책정한 바 있는 1달러 대 6원(6,000圓) 시세를 같은 해 11월 10일부터 일반시세에도 적용하기로 하였는데, 1953년 2월 14일의 통화 개혁을 계기로 하여 외환시세는 1달러 대 6원(60圜)으로 되었다.

그 뒤 1953년 12월 14일에는 ‘경제재건 및 재정안정 계획에 관한 한미공동경제위원회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우리 나라는 정식으로 공정시세를 설정하게 되었고, 이 협약에 의하여 공정시세를 1달러 대 18원(180圜)으로 인상시켜 다음날인 15일부터 실시하였다.

그러나 당시 우리 나라의 경제 여건은 전시 경제체제로 인하여 통화는 팽창하고 물가는 날로 상승일로에 있었으며, 재화는 원조자금에 의한 수입으로 충당되고 있었던 바 대충자금에 대한 외환시세 인상론이 제기되었다.

1955년 1월 10일에 한미공동경제위원회에서 제정된 바 있는 ‘원조물자 가격결정 및 분배에 관한 원칙’에 따라 1955년 8월 15일에 가서는 모든 외환거래에 대하여 1달러 기준통화 사용 대 50원(500圜)의 공정시세를 적용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이 때의 공정시세 변경에 관한 협의내용에 따르면 1955년 9월중의 서울 도매물가지수를 100으로 하여 1956년중의 이 물가지수가 125를 초과할 경우에는 외환시세를 재책정하기로 우리 나라와 미국 간에 합의를 보았다.

그리하여 1958년 말까지는 1:50선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1959년 하반기에 이르러서는 이 물가지수의 평균치가 130.2를 나타내자 우리 정부와 미국 정부 간에 협의를 거듭한 끝에 국제통화기금의 사전동의를 얻어 1960년 2월 23일부터 1달러 대 65원(650圜)선으로 외환시세를 인상시키고 말았다.

그러던 것이 1961년 1월 1일에 가서는 외환의 매상제 실시와 무역의 지역차별제 철폐, 그리고 취득원천에 따라 다양한 각종 환시세를 통합시킴으로써 외환시세는 1달러 대 65원(650圜)선에서 100원(1,000圜)선으로, 다시 같은 해 2월 1일에 기준통화 사용 가서는 130원(1,300圜)선으로 인상되었다.

이 때의 공정시세는 매상집중제가 실시됨에 따라 그 증서시세(證書時勢)를 5원(50圜), 그리고 기준시세를 125원(1,250圜)으로 구성한 시세였으며 증서시세는 경제 동향에 따라 금융통화위원회로 하여금 신축성 있게 변경하도록 하였으나 1961년 7월 31일 외환증서제가 폐지될 때까지도 변경된 바 없이 5원(50圜)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외환시세 변경의 보완조처로서 ‘임시특관세법제정’을 통한 관세정책과 실제시세를 반영하는 은행시세에 따라 외환에 대한 수요를 억제하고 국제수지 균형을 도모하려고 하였으나 이 특관세법은 당시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말았다.

그러나 1961년 5·16과 더불어 정부는 우리 나라 화폐의 대외적 가치를 유지하고 종전의 130원(1,300圜)선을 지탱하기 위하여 「임시특관세법」을 제정하여 은행 보유외화를 절약하고 인기품목 같은 수입수요를 억제하는 데 진력하였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1962년부터 실시한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 따라 자연히 수입수요가 증가되는 반면, 미국의 대한 원조는 오히려 감소되어 물가 상승추세는 단일환시세제를 유지할 수 없을 만큼 공정시세와 실제시세의 격차를 드러냈다. 이에 따른 수출감소와 수입증가의 무역역조 현상은 마침내 우리 나라의 대외적 결제수단의 위기까지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 당국은 1964년 5월 3일을 기하여 외환위기 타개책으로 환율 현실화를 단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외환시세를 1달러 대 130원선에서 255원을 하한선으로 하는 단일변동환시세제로 변경함과 동시에 외환증서제도를 다시 채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외환증서제도 실시에 필요한 제반 여건이 구비되지 못하여 실시를 하지 못하다가 1965년 3월 19일에 국제통화기금에서 9300만 달러에 달하는 ‘스탠드바이차관(standby credit)협정’이 정식으로 체결되자 같은 해 3월 22일에 이를 실시하게 되었다.

변동환율제도 실시 이후 한국은행의 시장개입으로 1965년 3월 이후에도 1969년 11월의 4.5% 평가절하(平價切下), 그리고 1971년 6월의 13% 절하, 또한 1974년 12월 ‘오일쇼크’에 대처하기 위한 21.3%의 절하 등, 네 차례의 단층적 환율조정이 있었으나 우리 나라의 환율은 장기적으로 고정되어온 셈이다.

이러한 제도운영으로 국내 물가변동과 주요 교역상대국 물가변동에 따른 환율조정이 지체되어 결과적으로 상대 환율을 과대 평가하게 되는 한편, 이에 따른 수출경쟁력의 약화를 간접적인 여러 가지 지원 등으로 해결해 왔다.

그러다가 드디어 1980년 1월 12일 1달러 대 580원으로 평가절하와 함께 변동환율제 도입을 검토한 끝에 1980년 2월 27일부터 시장률에 따른 자율 변동제도를 폐지,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s, SDR)과 우리 나라 독자 통화바스켓(basket)을 결합한 복합통화바스켓에 우리 나라 통화를 연결시켜 환율을 변동시키는 제도로 이행하였다.

즉, 한국은행은 최근 주요 국제금융시장에서 형성되는 우리 나라 주요 교역통화의 시세에 외환시장의 전망 등을 감안한 실세 반영장치를 감안하여 미화에 대한 한국은행 집중기준율을 정하게 되며, 외국환은행은 이를 기준으로 대고객매매율을 정한다. 미화 이외의 기타 통화는 대미 달러환율과 해당 통화의 대미 달러시세를 재정하여 결정한다.

한국은행 집중기준율의 대미 달러환율은 1973년 12월 말 396.90에서 1980년 1월 12일 580.00이었고, 1985년 12월 말 890.20으로 되었다가 1988년 12월 말에는 684.10이었다. 1980년대에 680원대를 기록하던 환율은 90년대에 들어 오면서 800원대로 상승하였다.

지속적인 1990년의 환율상승 추세는 1997년 8월을 계기로 폭등세로 바뀌었다. 1997년 초에 861.3:1이던 환율은 같은 해 8월에 900:1로 상승하였고, 10월 말이 되자 960:1선을 돌파하였다.

1997년 11월 17일에는 1008:1, 20일에는 1139:1로 매일 기록을 경신하였다. 이러한 환율상승세는 1997년 12월 말과 1998년 1월 초에는 거의 2,000:1 수준까지 상승함으로써 위기는 최고조에 달하였다.

그 뒤 새 정권의 적극적인 대외 경제활동과 대내적인 개혁안 수집 등에 힘입어 급한 불은 끌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환율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안정되어 1998년 2월 초에 이미 1,500:1 수준으로 하락하였고, 8월 말 현재 1,300:1 수준까지 하락해 있다.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서 외환시장은 비교적 빠른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반면에 가격 경쟁력이 약화됨으로써 수출전선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수출 확대를 통해 외화를 벌어 들여야 하는 긴박한 입장에 있는 우리 나라로서는 환율안정이 양면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미국 달러 지수 - 2022년 9월 (DXU2)

미국 달러 지수는 미국 달러와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인정받고 있고 공개적으로 거래되고 있는 통화지수의 국제 가치에 대한 주요한 기준이 됩니다. 미국 달러 지수는 주요 6개국 통화인 EUR, JPY, GBP, CHF, CAD, SEK에 대한 미국 달러의 가치를 말합니다. 달러지수를 사용하여 트레이더는 세계의 주요 통화에 대비한 미국 달러의 가치의 변화를 이용할 수 있고 단일 거래에서 미국 달러의 변화의 위험에 대비하여 자산 포트폴리오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기술 혹은 차트 섹션으로 가시면 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미국 달러 지수 선물 뉴스


금 가격 하락, 잭슨홀 회의 앞두고 달러는 상승

By Ambar Warrick Investing.com – 금요일(26일) 금 가격은 하락했다. 트레이더들은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나타날 연준의 통화정책.

금 가격 1750달러선 유지, 연준 잭슨홀 회의 주시

By Ambar Warrick Investing.com – 수요일(24일) 금 가격은 소폭 하락했으나 최근 상승분을 거의 유지했다. 이제 시장은 향후 .

국제유가 하락, 미국 CPI 상승세 둔화로 90달러 이상 유지

By Ambar Warrick Investing.com – 목요일(11일) 국제유가는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7월 미국 인플레이션이 예상치를 하회해 향.

미국 달러 지수 선물 분석


By Barani Krishnan (2022년 8월 31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연준 태도에 비춰볼 때 3회 연속 0.75%p 인상 가능성에 무게 최근 고용.

기술 요약

유형 5 분 15 분 시간당 일간 월간
이동평균 매수 매수 매수 매수 매수
기술적 지표 적극 매수 적극 매수 적극 매수 적극 매수 적극 매수
요약 적극 매수 적극 매수 적극 매수 적극 매수 적극 매수

캔들스틱 패턴

패턴 기간 신뢰도 캔들 간격 캔들 시간
완성된 패턴
Evening Doji Star 1W 10 2022년 06월 19일
Evening Star 1W 10 2022년 06월 19일
Doji Star Bearish 1W 11 2022년 06월 12일
Bullish doji Star 5H 14 2022년 08월 29일 22:00
Three Inside Down 1D 17 2022년 08월 09일

미국 달러 지수 선물 시세

거래소 종가 매수 매도 거래량 변동 % 통화 시간
실시간 CFD 109.215 - - - +0.51% USD 22:16:48
ICE 109.19 109.18 109.18 12,200 +0.48% USD 22:06:00
ICE 108.93 108.91 108.93 489 +0.49% USD 22:06:00
ICE 108.26 108.38 108.74 1 +0.20% USD 16:22:00

업계 최고의 브로커와 함께 거래를 시작하세요

중개업체 규정 최소 예치
사이프러스 증권거래위원회 (키프로스), 호주 증권투자위원회 (호주), 국제금융위원회 (벨리즈) $5 거래 시작하기
사이프러스 증권거래위원회 (키프로스), 금융행위감독청 (영국) $10 거래 시작하기

의견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하고 , 관점을 공유하고 , 저자와 서로 간에 의문점을 제시하시기를 바랍니다 . 하지만 , 저희 모두가 기대하고 소중히 여기는 높은 수준의 담화를 유지하기 위해 , 다음과 같은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 풍성한 대화 나누기.
  • 주제에 집중하기. 토론 주제와 관련된 것만 게시합니다 .
  • 존중하기. 부정적인 의견도 긍정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표준어 사용 : 문법에 맞춰 글을 작성합니다 .
  • 주의사항: 의견에 포함된 스팸이나 홍보용 메시지 및 링크는 제거될 것입니다 .
  • 저자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욕설,비방,또는 인신공격은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 대화를 독점하지 마십시오. 열정과 소신에 감사드립니다 . 다만 다른 분들에게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 의견은 간결하고 사려 깊게 제시하시고 다른 사람이 불편해 할 수 있음으로 같은 의견을 되풀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이야기나 포럼을 독차지하는 사람에 대한 불만이 접수될 경우 , 해당 사이트에서 그 사람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
  • 의견은 한글로 작성해주세요 .

스팸 또는 비방글은 사이트에서 삭제될 것이며 Investing.com 의 결정에 따라 추후 댓글 등록이 금지될 것입니다 .

미국 달러 지수 선물 토론

%USER_NAME%(을)를 정말로 차단하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귀하와 %USER_NAME%(은)는 서로의 Investing.com 게시물을 볼 수 없습니다.

%USER_NAME%(은)는 차단 명단에 추가되었습니다.

방금 이 사람을 차단해제하였으므로 48시간 이후에 차단을 재개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의견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귀하의 보고는 검토를 위해 조정자에게 보내졌습니다.

더 많은 통화 찾아보기

코스피지수2,415.61-56.44-2.28%
코스피200 선물 (F)314.50-6.50-2.02%
US 5003,931.5-23.5-0.59%
US Tech 10012,176.8-95.2-0.78%
DAX12,681.31-153.65-1.20%
닛케이27,661.47-430.06-1.53%
미국 달러 지수109.215+0.550+0.51%
1,709.65-16.55-0.96%
17.582-0.300-1.68%
브렌트유93.67-1.97-2.06%
WTI유87.66-1.89-2.11%
천연가스9.173+0.046+0.50%
구리3.4520-0.0665-1.89%
미국 옥수수662.50-8.00-1.19%
달러/원1,353.82+11.30+0.84%
유로/달러0.9991-0.0066-0.66%
브라질 헤알/원262.78+2.68+1.03%
엔/원9.7085+0.0575+0.60%
파운드/달러1.1574-0.0048-0.41%
태국 바트/원36.842+0.187+0.51%
달러/엔139.46+0.49+0.36%
애플157.22-1.69-1.06%
알리바바 ADR95.41+1.57+1.67%
트위터38.75-0.57-1.45%
알코아49.48-1.31-2.58%
뱅크오브아메리카33.61-0.48-1.41%
코카콜라61.71-0.44-0.71%
엑슨모빌95.59-0.72-0.75%
종목가격변동변동 %
미국 달러 지수109.215 +0.550 +0.51%

다운로드 App store

리스크 고지: 금융 상품 및/또는 가상화폐 거래는 투자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상실할 수 있는 높은 리스크를 동반하며,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가격은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높고 금융, 규제 또는 정치적 이벤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마진 거래로 인해 금융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금융 상품 또는 가상화폐 거래를 시작하기에 앞서 금융시장 거래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에 대해 완전히 숙지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 경험 수준, 위험성향을 신중하게 고려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반드시 정확하거나 실시간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본 웹사이트의 데이터 및 가격은 시장이나 거래소가 아닌 투자전문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므로, 가격이 정확하지 않고 시장의 실제 가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즉, 가격은 지표일 뿐이며 거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usion Media 및 본 웹사이트 데이터 제공자는 웹사이트상 정보에 의존한 거래에서 발생한 손실 또는 피해에 대해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Fusion Media 및/또는 데이터 제공자의 명시적 사전 서면 허가 없이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를 사용, 저장, 복제, 표시, 수정, 송신 또는 배포하는 기준통화 사용 기준통화 사용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모든 지적재산권은 본 웹사이트에 기재된 데이터의 제공자 및/또는 거래소에 있습니다.
Fusion Media는 본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 또는 광고주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해 광고주로부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본 리스크 고지의 원문은 영어로 작성되었으므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에 차이가 있는 경우 영어 원문을 우선으로 합니다.

외환거래 주요 용어 PiP/Lot/기준통화/상대통화

Remove

FX마진거래에서 의미하는 핍(Pip)은 '환율의 제일 마지막 단위' 입니다.


EUR/USD 환율을 예를 들어 1유로 = 1.3511이라고 한다면, 마지막 자리수가 핍을 나타냅니다. ​

최근에는 소수점 다섯번째까지 표현합니다. 핍은 소수점 네번째자리를 말하며, 다섯번째는 포인트(Point)라고 합니다.

1.13511에서 환율이 올라서 1.13514가 되었다면, 즉 0.3핍이 상승했다고 표현 합니다.
(1.13511 - 1.13514 = 0.00003 = 0.3pip) ​

일반적으로 좌측 그림과 같이 거래시 사용하는 플랫폼에 통화 종합시세창에서 호가를 볼 수 있습니다.

시장의 환율이 움직이면 투자자가 어떤 포지션을 취했느냐에 따라 손익이 오르내리게 됩니다. 1핍이 움직일 때 손익이 어느 정도 움직이는가 하는 것은 각 통화에 따라 다른데, 바로 여기에 핍이 가지는 진정한 의미가 있습니다. ​

EUR/USD 거래의 경우 달러의 최소 단위는 센트 Cent 입니다. 1핍은 0.01센트 = 0.0001달러 입니다. 1랏 거래에서 1핍의 수익을 얻었다면, 그 1핍의 수익은 얼마 일까요?

랏(lot)이란 거래에서 통용되는 단위를 의미하며, 1랏 (lots) 의 규모는 기준통화 X 100,000 (10만) 입니다. 통화쌍에서 먼저 앞에 표시되는 기준 통화를 화폐 단위로 잡습니다.

예를 들어 USD/JPY 라면, 기준통화가 달러이므로 1랏은 10만 달러이고, ,EUR/USD의 경우는 기준 통화가 유로이므로, 1랏은 10만 유로가 됩니다. ​

최종적으로 핍의 손익을 표기할 때에는 상대 통화의 화폐를 단위로 잡습니다. 예를 들어 EUR/USD 통화쌍의 1랏 거래시, 1핍의 수익을 계산한다면, "100,000 EUR x 0.0001 기준통화 사용 달러 = 10달러" 라는 공식이 성립하게 됩니다. 참고로 각 통화쌍의 조합별로 1핍 변동에 따른 수익을 정리하면 우측 표와 같습니다.

Remove

자세히 보면, 통화쌍 조합에서 앞에 있는 기준 통화가 1랏 거래의 화폐 단위로 표기 되며, 핍의 단위는 상대 통화로 표기 됩니다.
JPY 엔화를 제외 하고는 1핍의 움직임에 따라 대략적으로 핍가치 환산가치(Pip Value) 가 10 손익이 발생한다는 점 기억하세요!

이전 자료 보기

14

초급 단계

캔들봉 및 캔들차트 (Candle Chart) 의 의미

일반적으로 아는 그래프, 즉 '캔들차트(Candle Chart)'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stock-exchange-3087396__340

초급 단계

거래 진입방법! 매수/매도/롱포지션/숏포지션

거래 진입에 대한 개념과 매매의 원리, 시장에서 매수 매도에 따른 포지션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00

초급 단계

시장에서 거래량이 많은 7대 주요 메이저 통화

세계적으로 금융 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주요 통화(메이저 통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yaytg308247

초급 단계

외환시장 개장시간! 런던 유럽 뉴욕 호주 도쿄

거래 시장의 개폐장시간! 전 세계의 각국의 외환 시장이 언제부터 오픈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관련 동영상

증거금과 최소입금액의 차이! 헷갈리시죠!?

증거금과 최소입금액의 차이! 헷갈리시죠!?

아직도 증거금과 계좌 입금 잔고를 혼동하고 계십니까? 거래의 시작은 정확한 개념에서 출발합니다!

환율에 변화를 주는 요인! 이정도는 알고 가세요!

환율에 변화를 주는 요인! 이정도는 알고 가세요!

외환거래 에서 반드시 알아야할 개념! 환율은 어떤 변화 요인에 의해 오르고 내리는 걸까!?

무제한 액세스!

계정에 접속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알림 설정과 실시간 대시보드 로그인입니다!

실계좌 및 데모계좌를 개설하고

무료로 입금 정보와 금융 시황을 업데이트 받아 보세요!

ips2

©2022 GKFX Prime All Rights Reserved

GKFX Prime은 Global Kapital Group의 일부인 International Finance House Ltd 의 등록 기관입니다. International Finance House Ltd 는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의 금융 기관인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FSC BVI ")에 의해 승인받은 규제 기관입니다. 회사 번호 1728826 및 라이센스 번호 BVI SIBA/L/1066.

GKFX Cambodia는 Global Kapital Group의 일부인 GKFX Cambodia Co Ltd의 등록 기관입니다. GKFX Cambodia Co Ltd는 라이센스 026 (០២៦ គ. ម. ក / អ. ប ./ ឈ. ឧ.)에 따라 캄보디아 증권 거래위원회 (“SECC”)의 승인 및 규제를 받습니다. GKFX Cambodia Co Ltd는 캄보디아에서 라이센스를 받았습니다.

제한 지역 : GKFX Prime 에서는 준수하는 규정에 의해 일부 국가 주민에 대해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미국, 캐나다, 일본, 인도네시아, 터키, 이스라엘, 이란 등

위험 고지

마진으로 거래되는 모든 금융 상품은 높은 자본 위험을 수반합니다. 마진거래는 모든 투자자에게 적합한 방법이 아니며 초기 예치 자금보다 더 많은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래와 관련된 모든 위험성을 완전하게 숙지하시고 필요한 경우 독자적인 조언을 구하십시오. 더 자세한 정보는 위험고지, 비즈니스 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전문을 확인하십시오.

당사는 쿠키를 사용하여 로그인과 같은 기능을 지원하고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 파트너가 집계된 사이트의 사용량을 분석하도록 허용합니다. 완전한 사이트 경험을 누리시려면 쿠키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해주십시오. 쿠키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당사의 사이트를 탐색하면, 귀하는 쿠키 사용에 동의하게 됩니다. 당사의 쿠키 정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세부 사항을 확인하십시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