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s의 주식투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트레이딩뷰 : 삼성전자 주식 일봉 차트, 차트에 일목균형표를 표시한 그림

일목균형표 구름대 응용 - 차트에 색상 넣기 | SOM`s의 SOM`s의 주식투자 주식투자

수식관리자를 통해서 지표들을 변형하고 조합할 때 많이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가 일목균형표입니다. 일목균형표는 다른 지표들과는 다르게 구름대 색상 채우기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해볼 수가 있습니다. 다수의 커뮤니티에서 색상이 들어간 지표를 많이 보셨을 텐데 그 대부분의 지표는 모두 일목균형표의 기본적인 베이스를 가지고 만들어진 것이며 이번 글에서는 제일 간단하게 일목균형표를 활용해서 색상 지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 것입니다.

필자도 과거에는 색상을 넣는 방법에 대해서 많은 시간을 들여 연구하고 공부했지만 그 베이스가 일목균형표라는 것을 알게 된 후 부터는 색상을 연구할 때 일목균형표부터 켜서 지표를 만들곤 합니다. 이 글을 보시고 일목균형표에 대한 베이스 개념을 익히신 후 글 마지막에 필자가 만들어드리는 미니북을 다운로드하셔서 직접 간단한 예시를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썸네일

일목균형표의 특징

일목균형표는 여러 가지 보조지표 중 유일하게 자체적으로 색상을 제공하는 지표입니다. 물론 과열, 침체 등으로 색상을 일부 제공하는 지표도 있지만 차트 내에서 자유롭게 색상을 표현해주는 지표는 일목균형표가 유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투자자분들이 일목균형표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 2로 만들어진 구름 대라는 이름의 지표를 사용해서 지지 저항을 판단하여 매매에 활용하시는데 이번 글에서는 그런 특징을 활용해서 지표를 변형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입니다. 수식관리자에 대해서 하나씩 기초부터 천천히 공부 해나 가시는 분들이라면 이번 글이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일목균형표 구름대

일목균형표 구름대 예시

위 이미지는 일목균형표의 구름대 차트의 예시를 표현한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쓰시는 것과는 조금 다르게 오른쪽에 선행스팬이 이동하지 않은 모습인데 이것은 일목균형표를 좌측으로 25만큼 이동을 시켰기 때문에 이런 모습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일목균형표의 Shift 함수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걸어드릴테니 간단하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위에 나오는 이미지처럼 일목균형표의 구름대를 활용해서 우리가 어떻게 차트 내 지표에 색상을 넣을 수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한 가지 예시를 통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드린 후 이 부분을 활용하여 지표를 만들고 차트를 꾸밀 때 주의할 사항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일목균형표 Shift 함수 활용

일목균형표를 활용하여 색상 넣기

일목균형표를 활용하여 지표에 색상 넣기

위 이미지는 120일 이동평균선과 240일 이동평균선을 조합하여 색상을 넣은 것입니다. 단순히 이동평균선 함수를 2개 집어넣은 것 뿐인데 120일 이동평균선이 위에 있을 때와 240일 이동평균선이 위에 있을 때 다른 색상이 표현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색상이 들어가는 지표는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일목균형표를 활용하여 만든 것이고 이런 개념을 잘 활용한다면 어떤 지표든 그 사이에 원하는 색상을 집어넣을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린저밴드와 이동평균선 사이에 색상을 넣거나 이동평균선과 엔벨로프 사이에 색상을 넣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차트를 꾸며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일목균형표로 저런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일까요?

일목균형표 함수 살펴보기

일목균형표는 크게 5가지 함수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보조지표입니다. 수식 1부터 수식 5까지 모든 지표가 들어가 있으며 여기서 수식 4와 수식 5에 들어가는 선행스팬이 일목균형표의 구름대를 형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정말 간단하게 수식 1 ~ 수식 3까지 모든 함수를 지운 후 색상을 채워 넣고 싶은 지표를 수식 4와 수식 5에 집어넣어 주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지표명은 반드시 일목균형표 단어 사용

다만 이런 개념을 활용해서 지표를 만들 때 반드시 주의해야 하는 사항이 있습니다. 바로 지표의 이름에 일목균형표라는 단어를 꼭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동평균선과 볼린저밴드 사이에 색상을 넣는다고 가정을 한 후 만약 지표명을 '이평선 - 볼린저밴드' 라는 이름으로 지었을 때는 수식 4와 수식 5에 함수를 입력하더라도 차트 위에서 색상이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조금은 보기 싫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색상을 넣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표명에 '일목균형표' 라는 단어를 꼭 사용해야 합니다. 이 부분만 주의하신다면 크게 문제될 것 없이 색상이 들어간 지표를 만들어보실 수 있습니다.

색상 지표 만드는 방법과 주의사항 총정리

  • 지표명에 반드시 '일목균형표' 단어 사용하기
  • 수식1 ~ 수식 3은 비워도 되며 함수는 반드시 수식 4와 수식 5에 입력하기
  • 이동평균선으로 시작하여 다른 지표들 하나씩 응용해보기

위 3가지 사항만 잘 지키면서 연습하시면 기초적인 개념을 배우시는데 크게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조금 어렵게 느껴지실 수도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간단한 미니북을 첨부하며 저장하신 후 천천히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투자] 공부하는 사람

트레이딩뷰 : 삼성전자 주식 일봉 차트, 차트에 일목균형표를 표시한 그림

일목균형표의 구성 요소

가격은 기본적으로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의 균형이 깨진 쪽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실제의 주식시세에 대해 이 균형관계를 보고자 하는 것이 일목균형표의 기준선, 전환선, 후행스팬, 선행스팬 1,2입니다.

일목균형표는 현재의 가격을 중심으로 과거의 가격과 미래의 가격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차트를 만든다는 점에서 인과론적인 색깔이 매우 강합니다.

1. 전환선

전환선은 최근 9일 동안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을 선으로 나타낸 것이며 가격의 단기 이동평균선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현재의 매수세력과 매도세력 간의 힘의 균형과 SOM`s의 주식투자 시세의 중심을 말해줍니다.

트레이딩뷰 : 삼성전자 주식 일봉 차트, 일목균형표의 전환선

2. 기준선

기준선은 최근 26일 동안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을 선으로 나타낸 것이며 가격의 중기 이동평균선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름에도 알 수 있듯이 기준선은 일목균형표의 기준이 되는 선으로, 힘의 균형과 함께 시세의 방향성과 지지 및 저항 혹은 시세의 현 위치 설정에 중심이 되는 선입니다.

트레이딩뷰 : 삼선전자 주식 일봉 차트, 일목균형표의 기준선

3. 후행스팬

후행스팬은 차트의 각 종가를 26일 전의 위치에 기록한 선을 말합니다.

즉 현재의 주가를 뒤로 미루어 하나의 선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26이라는 숫자는 기준선에서도 사용한 숫자인데, 이는 일목균형표서 하나의 파동이 완성되는 시간을 26일로 해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트레이딩뷰 : 삼선전자 주식 일봉 차트, 일목균형표의 후행스팬

4. 선행스팬 1

선행스팬은 현재의 주가를 미래로 앞당겨 현재까지의 움직임을 토대로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하려는 시도로 전환선과 기준선의 평균치를 26일 선행시킨 선을 말합니다.

선행스팬 1은 중단기적인 힘의 균형과 시세의 중심을 알려주는 이정표 역할을 SOM`s의 주식투자 합니다.

트레이딩뷰 : 삼성전자 주식 일봉 차트, 일목균형표의 선행스팬1

5. 선행스팬 2

선행스팬 2는 전환선과 기준선처럼 최근 52일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을 표시하는 선인데 이를 26일 앞에 위치에 기록한 선입니다.

즉 현재까지의 장기 이동평균선을 미래의 위치에 표시한 선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뷰 : 삼성전자 주식 일봉 차트, 일목균형표의 선행스팬2

6. 구름대

일목균형표에서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 사이의 영역을 구름대라고 하며 선행스팬 1이 선행스팬 2보다 위에 위치해 있으면 초록색으로, 선행스팬1이 선행스팬2보다 아래에 있으면 붉은색으로 표시하여 초록색 구름대를 양운, 붉은색 구름대를 음운이라고 부릅니다.

이 구름층은 가격의 지지 구간과 저항 구간의 역할을 하며 구름층의 두께에 따라 지지 구간과 저항 구간의 힘을 예측할 수가 있게 됩니다.

양운은 지지 영역, 음운은 저항 영역으로 해석하며 구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현 추세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양운에서 음운으로, 음운에서 양운으로 변하게 되는 시점을 중요한 추세 반전 시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트레이딩뷰 : 삼성전자 주식 일봉 차트, 일목균형표의 구름대

일목균형표 지표

일목균형표(IKH)란?

사진출처: Unsplash

종가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이동평균선과는 다르게 특정기간의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을 내어 지표가 작성됩니다.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보조지표가 후행성이거나 동행성을 보이지만, 일목균형표는 선행성까지 갖고 있어서 미래를 예측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일목균형표의 구성

(과거 9일간의 최고가+과거 9일간의 최저가)/2

(과거 26일간의 최고가+과거 26일간의 최저가)/2

금일 종가를 26일 전에 기입

(금일 전환선값+금일 기준선값)/2, 이 수치를 26일 후에 기입

(과거 52일간의 최고가+과거 52일간의 최저가)/2, 이 수치를 26일 후에 기입

선행스팬1과 선행스팬2 사이를 칠하면 띠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을 구름대라고 합니다.

아래 글은 아래 링크의 일본 자료를 번역하였습니다.

一目均衡表|テクニカルチャート講座|FXブロードネット

一目均衡表 は、一目山人(細田吾一)氏が作成した純国産のテクニカル分析です。 一目均衡表 は波動・時間・水準を総合的に取り入れたチャートであり、相場のバランスをビジュアルに表現したものです。 時間分析を主体として波動分析に及ぶ非常に奥の深いテクニカル分析ですが、ここではチャート的な分析について説明します。 一目均衡表 はローソク足とともに5本の線を描くことによって作られます。 一目均衡表 を構成する5本の線は以下の計算式によって算出されます。 基準線(赤線)=(26日間の最高値+26日間の最安値)÷2 転換線(黄色)=(9日間の最高値+9日間の最安値)÷2 先行スパン1(グレー線)=(基準線+.

일목균형표에서 전환선과 기준선은 각각 단기와 장기의 이동평균선 역할을 합니다.

이용 방법도 마찬가지로, 전환선이 기준선을 위에서 아래로 빠지면 팔고,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빠지면 매입 시그널이 됩니다.

두 가닥의 선행 스팬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구름대라고 합니다.

구름대는 저항대로 인식되며, 두께가 있을수록 강한 저항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시세보다 위에 구름대가 있는 경우는 상한가 저항이 있는 하락 시세, 시세보다 아래에 구름대가 있는 경우를 하한가 지지가 있는 상승 시세라고 생각합니다.

또 구름대가 꼬여 크로스한 곳을 '선행스판 변화일'이라고 부르며 시세 전환의 기준이 된다고 알려져 있어 시세가 변화일 부근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후행스판은 당일 종가를 26일 역행시켰을 뿐인 단순한 것이지만, 일단 산사람은 가장 중요한 선이라고 하며, 시세의 큰 전환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습니다.

후행 스판이 26일 전의 시세를 상회했을 때를 상승 전환, 하회했을 때를 하강 전환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1. 기준선과 전환선, 2. 현재의 시세와 구름대, 3. 후행스팬과 26일전의 시세 등 3 가지 관계가 전환선>기준선, 현재의 시세>구름대, 후행스팬>26일전의 시세 가 되고 있는 경우를 "삼역호전"이라 하여 시세는 강세가 되었다고 판단합니다.

또한 모든 것이 반대로 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약세를 확인하는 시그널이 됩니다.

참고출처: 일본 주식의 달인(sevendata.co.jp), 일본 FX브로드넷(fxbroadnet.com), 나무위키, 매일경제. Wikipedia

일목균형표 지표

금일도 주식 공부를 위해 찾아왔습니다.

지난번 포스팅때 엔벨로프 / RSI / CCI / 스토캐스틱 / MACD / 가격박스 / 볼린저밴드를 이용한 매매법을 알려 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일목균형표라는 보조지표를 활용한 매매법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본 보조지표가 지금까지 말씀드린 모든 보조지표 중 가장 복잡하고 매매법이 다양하여 한번에 설명이 어렵워 여러가지 매매법으로 나누어 차근차근 설명 드리겠습니다.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일목균형표 청아출판사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일단 차트에 아무것도 SOM`s의 주식투자 남기지 않고 모두 삭제한 상태입니다.

기본 차트는 거래량 지표와 가격이동평균선 (5,10,20,60,120일)이 표시 되어 있는데 이것도 삭제하였습니다.

기술적 지표 -> 가격지표 -> 일목균형표 를 클릭합니다.

처음보시면 정말 너무 지져분하고 복잡하다고 생각하실겁니다.

자주 보시면 익숙해지실겁니다.

그래서 차근차근 하나씩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차트 왼쪽 상단 전환선9 를 더블클릭하십시오.

조건은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표 상세정보 표시는 잘 보지 않아 체크를 푸시고 구름대는 하셔도 되고 안하셔도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닥을 잡는 것만 할 예정이라서 사용안합니다.

기준선, 후행스팬만 클릭하시고 나머지는 체크를 풀어줍니다.

기준선은 보기 좋게 두께를 조금 두껍게 하였습니다.

일목균형표는 기준선이 가장 중요합니다. 기준선과 SOM`s의 주식투자 다른 조건들을 결합하여 보셔야합니다.

저는 기준선만 보고 매매하기도 합니다. 다른 지표를 한번에 보시려면 별도의 참고용 차트를 따로 만드셔서 저장 불러오기를 하시던지 키움증권의 경우 주식종합차트과 키움종합차트 2개를 사용가능하니 따로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이렇게하시면 셋팅이 끝났습니다.

셋팅 후에는 캔들과 선 2개만 보입니다.

이제 조금 보기 좋아지셨을겁니다.

다음 보조지표로 지난번 알려드린 STO Slow를 차트에 추가하십시오. 방법은 아래 링크 남겨 드립니다.

주식 스토캐스틱(Stochastics) 활용한 스윙투자법

​안녕하세요. 위기는기회다입니다.​금일도 주식 공부를 위해 찾아왔습니다.지난번 포스팅때 엔벨로프 / .

참고로 기타 RSI, MACD, 엔벨로프 등 최대한 많은 지표와 결합해서 보시면 더욱 도움이 됩니다.

일목균형표는 일본에서 개발된 지표로 주가의 움직임을 5개의 선을 이용한 지표로서, 지수나 지수 관련 대형주 등의 순수한 자유 경쟁 시장에서의 지수의 흐름을 예상하는데 큰 도움을 줌. 하지만, 소형주에서는 해석상에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 기본적으로 전환선이 기준선 위에 위치하면 매수국면으로 보고 전환선이 기준선 밑에 위치하면 매도 국면

- 전환선이 기준선 밑에 있더라도 기준선의 추세가 상승 추세이면 매도를 보류

- 기준선이 주가 위에 위치하면 저항선으로, 주가 밑에 위치하면 지지선으로의 역할

- 기준선이 상승추세를 유지하고 있을 때 후행스팬이 주가를 밑에서 위로 상승 돌파하면 시장은 강세국면으로 전환될 확률이 높다.

- 후행스팬이 주가를 상승돌파하지 못하고 재차 하락 반전되면 시장은 더욱 강한 약세 국면이 지속될 확률이 높다.

-주가 위에 있던 후행스팬이 주가를 하향 돌파하는 경우 매도 시점으로 보며 하락하던 후행스팬이 주가에 부딪혀 되돌아 상승할 경우 향후 시장은 더욱 강세가 유지

- 주가가 선행스팬 1, 2 사이의 구름층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 돌파하면 구름층이 지지구간으로 바뀌어 시장은 강세국면으로 전환된다고 보며 주가가 구름층의 돌파를 실패하면 즉, 저항하는 힘이 강하면 시장은 재차 하락

제가 최근에 2번 들어가서 두번 다 10~30% 정도 먹고 나온 신풍제약 차트입니다.

얇은 청색선은 후행스팬이고 굵은 회색은 기준선입니다.

전제조건으로 후행스팬선이 캔들과 이격도가 크게 벌어져야 합니다. 이격도가 벌어지지 않으면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일단 후행스팬이 가장 최저점을 찍고 상방으로 추세가 바뀌어야 하며 보조지표 STO Slow가 침체 구간을 탈피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캔들이 기준선에 올라타야합니다. 이때가 매수 타점입니다.

일단 캔들이 기준선 위로 올라오면 다시 기준선을 깨면 안됩니다. 장중 잠시 깨더라도 종가 마감 캔들은 반드시 캔들이 기준선 위에 올라와 있어야 합니다.

기준선을 깨면 본전 매도 또는 약손절 하시면 됩니다.

이 보다 밑에서 잡는 방법도 있으나 이 방법은 다른 기법보다 성공확률이 높고 손절선이 작아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매도타점은 후행스팬이 캔들을 뚫지 못하거나, 기준선을 뚫지 못하면 매도하면 됩니다.

만약 뚫었다면, 다시 캔들 밑으로 내려오거나, 기준선 밑으로 내려오면 매도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STO Slow 과열 구간을 깨고 내려오면 매도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크게 먹을 수도 있고 작게라도 단기적으라 수익이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참고로 현재 기준 신풍제약은 후행스팬이 캔들을 깨고 내려왔습니다. 그래서 저도 몇일 전 10프로 이상 수익권에서 수익을 실현하였습니다.

아직은 기준선 위에 있으며, 후행스팬이 기준선 까지 깨고 내려간다면 매도 해야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후행스팬이 기준선을 종가상 절대 깨고 내려오면 절대 안됩니다. 보유하신분들 참고만 하세요.

만약 후행스팬 선이 기준선 지지를 받고 다시 캔들까지 뚫어 올린다면 더 크게 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보조지표만 활용해서 매매하시면 절대 안됩니다. 보조지표는 단순히 기술적으로 보는 것이며 재료, 재무, 수급, 이슈 등을 전부 고려하여 매매하셔야 합니다.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