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동성공급자(LP)의 기능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 LP는 증권회사가 담당,매수와 매도호가를 보통 1,000주 ~ 1만 증권씩 제출
- LP호가를 제시하여 언제든지 즉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
- 가격괴리 방지역할
ETF 운용
21세기의 가장 혁신적인 금융상품, ETF 이야기
안녕하세요.
한화자산운용 전략운용팀을 맡고 있는 장승한 입니다.19세기 말 처음 펀드가 세상에 등장한 이후로, 펀드 상품은 시대를 거듭하는 가운데 점점 더 다양해 지며 진보해 오고 있습니다.
이 중 최근 가장 큰 각광을 받으며 투자의 패러다임을 바꿔놓을 것이라는 평과 함께 21세기의 가장 혁신적인 금융상품으로 꼽히는 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입니다.저는 앞으로 ARIRANG ETF 사이트를 통해 ETF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분께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전하고자 합니다.
부디 제 이야기를 통해 여러분께서 ETF와 조금 더 가까워지고 ETF 투자에 도움을 받으실 수 있길 바랍니다.이번 PART에서는 ETF가 무엇이며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모두가 느끼시겠지만 오늘날 우리 주변에는 대중 매체 및 인터넷 등을 통하여 투자상품에 대한 정보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투자자들이 투자상품 및 개별 주식종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여 직접 투자하는 것은 시간이나 비용 문제 등으로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인해 실제로는 어려움이 많습니다.
따라서, 직접 투자가 어려운 개인 또는 기관 투자자들이 운용전문가가 운용하는 상품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개발된 상품이 바로 펀드 입니다.즉, 펀드란 다수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운용회사가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를 한 후 그 성과를 투자자 지분만큼 분배하는 상품을 의미하며,
운용하는 자산 및 운용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은행, 증권사에서 펀드 상품을 살펴보다 보면 펀드명에서 ‘인덱스'라는 문구를 보셨을 것입니다.
인덱스라는 것은 특정 지수를 추종하여 지수 수익률을 목표로 운용하는 펀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수인 종합주가지수(KOSPI)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라면 향후 종합주가지수가 10% 상승하였을 경우 인덱스 펀드 역시 10%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게 되지요. 이러한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인덱스 펀드는 1990년대 중반 존 보글 (John Bogle)이 뱅가드 (Vanguard) 인덱스 펀드를 운용하면서 시작되었고, 펀드투자 등 간접투자 문화가 발달한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 운용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덱스 펀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규모가 증가했습니다.새로운 투자대안으로 떠오르게 되었지만 모든 펀드가 그렇듯이 인덱스 펀드 역시 항상 매력적이지는 않습니다.
갑자기 시장이 오르거나 내릴 경우, 인덱스 펀드는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급락할 경우 판매사를 통해 바로 펀드 해지요청을 하더라도 환매시점에는 이미 하락장이 다 반영된 상태에서 환매가 되어 버리는 등 시장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제약이 있지요.이와 같은 이유로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는 상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ETF라는 상품이 개발되었습니다.
ETF (Exchange Traded Fund)는 인덱스 펀드를 주식시장에서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금융상품입니다.
ETF는 주식시장에 상장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주식처럼 거래가 손쉬우며, 일반 펀드처럼 판매사나 영업점을 방문해
가입하지않아도 되고, 증권사계좌를 이용한 HTS 및 전화 등을 통하여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실시간 매매가 가능합니다.따라서 ETF는 다양한 종목에 대한 분산투자가 가능하고 비용이 저렴한 인덱스 펀드와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주식의
장점을 동시에 지닌 금융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ETF는 1990년대 초반 미국증권거래소(AMEX)에서 근무하던 나단 모스트 (Nathan Most)가 미국의 대표지수인
S&P500지수를 추종하는 스탠다드푸어스예탁증서(Standard & Poor’s Depositary Receipts ; SPDRs) 라는 상품을 만든
것으로 시작됩니다.( * S&P500지수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500개 대형기업이 포함된 주가지수입니다.
미국 상장기업 시가총액의 80%이상을 포함하고 있어 미국 주식시장을 가장 잘 대변하는 지수입니다. )SPDR은 상품의 앞글자 발음을 딴 별명인 ‘스파이더’로 큰 인기를 끌게 됩니다.
그리고 1990년대 말 2000년대 초 IT버블로 인한 주식시장 급등락은 ETF가 대중화되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기술주 등 IT종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나스닥(NASDAQ)지수를 추종하는 QQQ라는 ETF의 매수를 통하여 손쉽게
IT업종에 접근할 수 있었고, IT버블이 끝나 주가가 하락할 때 QQQ를 차입하여 공매도함으로써 큰 수익을 낼 수 있었습니다.글 / 장승한 (전략운용팀 팀장)
이 컨텐츠의 모든 저작권은 한화자산운용 공식블로그 펀드펀드에 있습니다.전체 메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ETF 브랜드 KODEX.
ETF는 어떠한 투자상품이고 얼마나 많은 장점이 있는지, 일반 펀드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다수의 ETF 브랜드 중 왜 KODEX ETF를 선택해야 하는지를 알기 쉽게 알려드립니다.ETF의 개념과 장점
ETF의 개념
ETF(Exchanged Traded Fund)는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한 펀드입니다.
그래서 상장지수펀드라고 부르며, 인덱스 펀드와 주식 거래의 장점을 모두 갖추어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하는 혁신적인 투자 상품입니다.주식처럼 거래합니다. ETF는 분명히 펀드이지만, 거래소에 상장되어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각 상품마다 종목코드(예:KODEX200=069500)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처럼 거래소 개장시간 중에 MTS, HTS, 전화, 지점방문을 통한 직접 주문을 통해 증권계좌에서 매매할 수 있습니다.ETF의 장점
ETF는 인덱스 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습니다.
투자성과가 명확합니다. 추적하는 기초지수의 성과가 ETF의 1주당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시장 전체나 특정 업종의 성과가 곧 투자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펀드매니저의 실수나 개별 종목이 가진 위험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아 시장 성과에서 소외되지 않습니다.저비용 투자가 가능합니다. 일반 주식형 펀드는 물론 일반 인덱스 펀드보다도 운용보수가 낮습니다.
지수를 따라가기 때문에 불필요한 주식매매가 없어 수수료가 절약되고, ETF를 매도할 때는 일반 주식을 매도할 때 부과되는 거래세(0.3%)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가 면제되어 거래비용이 낮아집니다.운용내역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F의 구성종목과 각 종목의 보유비중, 보유수량, 가격 등을 실시간으로 공개합니다.
보유한 주식들의 배당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며 그 내역을 거래소에 공시합니다.ETF와 펀드의 차이점
투자과정의 차이
일반 펀드의 투자 과정
펀드에 투자하기 위해 투자자는 펀드를 판매하는 곳(증권사, 은행, 보험사)에 가서 현금을 납입하고 펀드 설정을 요청합니다.
그러면 판매사는 설정을 요청받은 펀드에 현금을 납입하고, 펀드의 수익증권이나 주권을 발급받아 다시 투자자에게 전달합니다.ETF의 투자 과정
한편, ETF는 일반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를 통해서 투자가 이루어집니다.
ETF의 가장 큰 특징은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이 나누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발행시장(Primary Market)은 ETF가 설정 및 해지되는 시장이고,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은 이미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발행된 ETF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래되는 시장을 말합니다. 시장참여자들에 의해 이 두 시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ETF 상품을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게 됩니다.
발행시장에서는 지정참가회사(AP, Authorized Participant, 흔히 증권사가 그 역할을 함)가 펀드운용사로부터 직접 펀드를 사고 파는 설정 및 환매가 일어납니다.
단, 발행시장은 대규모 거래만 가능해서 기관투자자들이 이용합니다. 그래서 일반 투자자들은 거래소를 중심으로 하는 유통시장에서 ETF를 매매하게 됩니다.발행시장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설정/환매)
유통시장 (매수/매도)
ETF VS 일반 펀드
ETF와 일반 펀드의 투자의 타이밍, 대주 매도 (Short Selling), 보수, 거래비용, 시장충격비용의 비교 테이블
구분 ETF 일반 펀드 투자의 타이밍 투자자들은 장중시장가격을 참고하면서 시장가격에
매매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매매가격과 매매시점에
대한 의사 결정을 하고 직접 실행하게 됨당일이 아닌 미래 날짜의 펀드의 순자산가치(NAV)에 따라서
설정/해지하는 방법으로 투자하기 때문에 자신의 투자가격을
모르는 상태에서 투자 의사 결정을 하게 됨대주 매도 (Short Selling) 주식과 같이 대주에 의한 매도가 가능 대주에 의한 매도 불가능 보수 일반 펀드에 비해 보수 낮음(0.5% 수준),
매매시에는 매매수수료 부담보통 2% 수준 거래비용 ETF는 현물로 설정/해지하기 때문에 펀드 내에서
설정/해지에 따른 매매 수수료 부담이 없음설정/해지에 따른 거래 비용을 펀드의 투자자가 부담 시장충격비용 시장에서 형성되는 ETF의 매수/매도 호가간의
시장충격 비용이 있음의사결정과 실행 간의 불일치로 인한 기회비용의 손실이 있음 왜 KODEX ETF인가?
KODEX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ETF 브랜드입니다.
한국시장 최초이자 가장 큰 규모로 명실공히 한국 대표 ETF 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ETF * 2020년 11월말 기준
대한민국 ETF 시장의 자산규모인 50조 원 중 27조 원이 삼성자산운용 KODEX ETF의 규모입니다.
KODEX의 대표 상품인 KODEX 200 ETF의 순자산총액은 5.8조 원으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ETF 상품입니다.개인/기관 투자자의 투자수단
개인투자자 뿐만 아니라 기관투자자도 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활용하는 투자 수단으로서, 유동성이 매우 풍부하여 거래가 활발한 ETF입니다.
KODEX를 통해 다양한 자산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국내주식, 해외주식은 물론 채권, 원자재 등 KODEX ETF를 통해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은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성향에 잘 맞는 자산을 선택하여 투자할 수 있고,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도 갖추고 있어 시장상황에 따라 알맞은 투자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다양한 스마트베타 ETF를 출시하여 패시브 투자의 한계를 뛰어넘는 팩터 투자도 가능합니다.
KODEX는 날마다 투자자에게 더 쉽고 스마트하게 투자할 수 있는 이정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전체상품 한눈에 보기를 클릭해보세요.KODEX에는 삼성자산운용의 오랜 ETF 운용 노하우가 함께 합니다.
정확한 지수 추적을 통한 확실한 목표 달성 추구
KODEX ETF는 각 지수의 특성에 맞게 완전복제 방법(Full-replication)과 최적화 방법(Optimization)을 병행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체계적이고 계량적인 방법으로 지수를 추적하여 명확한 목표 달성을 추구합니다.
완전복제 방법은 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을 지수 비중대로 맞추어 ETF 펀드에 편입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최적화 방법은 완전복제 방법과는 달리 지수 구성과 일치하지 않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는데, 주로 종목 수가 많거나 몇몇 구성 종목의 유동성이 떨어질 경우에 사용합니다. 최적화 방법은 지수 구성과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수 수익률보다 높거나 낮은 수익률의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삼성자산운용 KODEX ETF 시리즈는 MSCI Barra 모델을 이용한 계량적인 분석으로 지수 수익률에 대한 변동성을 엄격히 관리합니다.시기적절한 이벤트 대응과 충실한 분배금 지급
KODEX ETF의 추적지수들은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구성종목이나 종목별 주식수가 변경됩니다.
그리고 각 구성종목마다 주식수의 변화(신규상장, 증자, 감자)ETF의 개념과 장점 > KODEX ETF 란? > KODEX 아카데미 > KODEX 나 거래여부 및 비중조정(합병, 분할, 등록폐지) 등의 요인이 되는 각종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KODEX ETF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시기적절한 대응으로 이러한 지수의 변화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수정합니다. 또한, 기업들이 주주에게 지급하는 배당금을 받아 두었다가 투자자분들께 충실하게 전달합니다.지수변화이벤트에 대한
대처와 배당 등의 분배금 처리구성종목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충실한 분배금 지급주식대여 등 기타수익을 통한 보수 상쇄
KODEX ETF는 인덱스 펀드이므로 일반 주식형 펀드에 비해 매매의 빈도와 회전율이 적어 주식을 장기 보유하게 됩니다.
이렇게 장기 보유한 주식은 한국예탁결제원 등을 거쳐 기관투자자들에게 활발하게 대여하고 있으며, 여기서 발생하는 수수료(연 0.1~4%)는 KODEX ETF의 수익이 됩니다.
KODEX는 주식대여를 통해 운용보수의 상당부분을 상쇄하여, KODEX 투자자에게 최대한의 가치를 제공해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KB STAR ETF 로고
ETF는 추종하는 지수의 구성종목들로 펀드를 구성하기 때문에 ETF를 매수하면 지수 구성종목 전체를 매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TF는 여러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펀드의 장점과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주식의 장점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ETF의 장점
일반적인 펀드에 비해 ETF는 운용보수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매매 시 증권거래세가 부과되지 않아 거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ETF는 기존의 주식거래계좌를 이용하여 손쉽게 투자할 수 있으며 거래소에 상장되어 일반주식과 같이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ETF의 시장가격은 기초지수의 움직임을 충실히 반영할 뿐만 아니라 펀드를 구성하고 있는 주식 내역과 순자산 가치를 매일 공표하기 때문에 상품의 투명성이 높습니다.
단 1주만 보유해도 각 ETF상품을 구성하는 모든 종목의 성과를 그대로 누릴 수 있어 소액 투자로도 분산 투자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거래소와 함께하는 ETF이야기
ETF의 이해
ETF의 장점
ETF 투자방법
ETF 투자지표
ETF 투자위험
레버리지/인버스상품 투자위험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 액티브ETF·펀드의 차이
ㆍETF투자자라면
꼭 알아야할 체크사항NAV와 iNAV 무엇인지 살펴보기
- NAV(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 : 하루 한번 산출
- 펀드의 기준가격과 동일
- iNAV(indicative NAV),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 실시간 산출
- ETF의 핵심투자지표
- iNAV가 산출되는 원리: 직접방식(국내형), 간접방식(해외형)
가격괴리가 무엇인지 확인하기
- ETF 시장가격과 NAV가 떨어져 있는 정도
- 가격괴리가 발생하는 이유
- 유동성수준: 유통성이 낮은 경우 가격괴리 가능성
- 세금: 분배금에 대한 배당소득세로 인한 디스카운트 가능성
- ETF 추가 공급지연: 수요대기 공급 부족으로 인한 프리미엄 가능성
추적오차가 무엇인지 살펴보기
- NAV가 기초지수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Tracking Error)
- 추적오차가 발생하는 이유: ETF운용사의 운용능력과 직결
- 복제방법과 수준
- 운용보수 등 제비용 수준
- ETF 기초자산의 교체방법과 교체시 거래비용
-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및 이자
유동성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보기
- 유동성공급자(LP)의 기능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 LP는 증권회사가 담당,매수와 매도호가를 보통 1,000주 ~ 1만 증권씩 제출
- LP호가를 제시하여 언제든지 즉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
- 가격괴리 방지역할
- LP가 제출하는 매수호가와 매도호가 간격인 호가스프레드비율 통제
- 호가스프레드비율 : 국내주식형 1%, 채권형 0.5%, 해외형 1~3%
둘째, NAV가 무엇인지 살펴 보세요
- NAV(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 : 하루 한번 산출
- 펀드의 기준가격과 동일
- NAV 산출방법 = (자산총액-부채총액)/ 발행된 ETF증권 수
셋째, iNAV가 무엇인지 살펴 보세요
- iNAV(indicative NAV).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 : 실시간 산출
- ETF의 핵심투자지표
- iNAV가 산출되는 원리 : 직접방식(국내형), 간접방식(해외형)
넷째, 가격괴리가 무엇인지 살펴 보세요
- ETF 시장가격과 NAV가 떨어져 있는 정도
- 가격괴리가 발생하는 이유
- 유동성수준 : 유동성이 낮은 경우 가격괴리 가능성
- 세금 : 분배금에 대한 배당소득세로 인한 디스카운트 가능성
- ETF 추가 공급지연 : 수요대기 공급 부족으로 인한 프리미엄 가능성
0 개 댓글